부유식 플랫폼 3개, 전체 6.3㏊ 규모로 설계해 1만 2000명 수용
내년부터 기본·실시설계 들어가 2027년 착공, 2030년 완공 목표
27일 부산시에 따르면 뉴욕 유엔본부에서 현지 시간 26일 오전 9시 30분 열린 해비타트 원탁회의에서 오셔닉스 부산의 디자인이 공개됐다.
오셔닉스 부산은 육지와 다리로 연결한 해상 부유식 플랫폼 3개, 전체 6.3㏊ 규모로 설계해 1만 2000명을 수용한다는 계획이다. 거주, 연구, 숙박 등의 목적으로 설계한 각각의 근린 환경에는 3만∼4만㎡ 규모의 복합 프로그램을 배치했다.
또 태양광 패널로 해상도시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를 모두 생산하고 물을 포함한 자원을 재활용해 지속가능한 해상도시를 구현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와 함께 온실과 혁신적인 도시농업으로 작물을 생산한다는 구상을 내놨다.
이날 원탁회의에서는 이런 기능을 갖춘 해상도시 플랫폼을 앞으로 20개 이상으로 대폭 확장할 가능성도 제시됐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날 회의에 화상으로 참여해 “부산의 지속가능한 해상도시 프로젝트 참여는 글로벌 파트너십 협력과 실행의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부산시는 지난해 11월 해상도시 시범모델 사업 참여와 협력을 위해 유엔 해비타트, 오셔닉스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오셔닉스 부산은 내년부터 2026년까지 기본·실시설계 등을 거친 뒤 2027년 해상도시를 착공, 2030년 완공될 계획이다.
부산 박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