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오후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 옆 야적장에 완성차들이 대기하고 있다. 울산 연합뉴스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액은 6837억 달러(약 993조원)로 전년보다 8.1% 늘었다고 통계청이 어제 발표했다. 자동차와 석유화학 등에서 수출이 줄었지만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전자통신에서 수출이 크게 증가해 전체 수출액을 끌어올렸다. 저성장 고착화에 대한 우려와 내수 부진을 겪는 와중에 그나마 수출이 버팀목 역할을 한 셈이니 다행이다.
하지만 수출에서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진 점은 고민해 볼 대목이다. 지난해 수출액 상위 10대 기업의 무역집중도는 36.6%로 전년보다 3.7% 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18년 37.8% 이후 6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수출액 상위 100대 기업의 무역집중도 역시 66.5%로 2015년 이후 가장 높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1년 전보다 11.6% 늘었고, 중소기업도 4.7% 증가했지만 중견기업은 0.7% 감소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세계 통상·무역 환경은 급변하고 있다. 자국 우선주의를 앞세워 동맹국에까지 무차별 관세 공격을 퍼붓는 ‘트럼프 쇼크’로 ‘수출 한국’의 앞날에도 짙은 암운이 드리워졌다. “예외 없는”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이어 우리나라 양대 수출 품목인 자동차와 반도체에도 관세 부과를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우려가 현실이 될 가능성은 한층 커졌다. 자동차는 지난해 한국의 대미 수출액 중 27.2%를 차지한 수출 1위 품목이고, 반도체는 지난해 처음으로 대미 수출 100억 달러를 넘었다.
우선은 대미 협상을 통해 관세 유예든 차등 적용이든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에 총력을 쏟아야 한다. 하지만 트럼프가 기침만 해도 우리 경제가 통째 앓아눕는 허약한 통상 체질로 언제까지 버틸 수는 없다. 대기업과 특정 국가·품목에 편중된 수출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경제 체질 개선을 이제는 시작해야 한다. 수출 경쟁력이 있는 신성장동력 사업을 적극 지원하고 중견기업을 육성해 수출 품목과 시장을 다변화하는 노력을 병행할 때다.
2025-02-1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