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바이오 영재고 올해 첫 삽 뜨나..충북 하반기 착공 기대

국내 첫 바이오 영재고 올해 첫 삽 뜨나..충북 하반기 착공 기대

남인우 기자
남인우 기자
입력 2025-01-27 07:00
수정 2025-01-27 07: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충북도가 추진중인 AI 바이오 영재고 조감도. 충북도 제공.
충북도가 추진중인 AI 바이오 영재고 조감도. 충북도 제공.


국내 첫 바이오분야 영재고 건립이 올해 말 본격화될 전망이다.

27일 충북도에 따르면 청주 오송에 들어설 예정인 AI(인공지능) 바이오 영재고 설계용역이 진행 중이다.

설계용역은 도와 함께 사업을 추진 중인 카이스트가 발주했다. 용역 기간은 올 연말까지다.

도는 용역을 서둘러 올해 하반기에 착공한다는 계획이다. 이 계획대로 공사가 시작되면 2027년 3월 개교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영재학교 건축비가 빠진 채 올해 정부 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했지만 지방비를 먼저 투입한 뒤 추가경정예산 편성 때 국비를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AI 바이오 영재학교는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연제리 일원에 지어진다. 2만 2500㎡ 부지에 연 면적 1만 5990㎡,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다.

총건축비는 585억원이다. 정부와 충북도가 7대 3으로 사업비를 나눠 분담한다. 학교 운영과 교육과정 마련 등은 카이스트가 맡는다. 무학년, 졸업 학점제로 운영돼 조기 졸업도 가능하다. 전교생 기숙사 생활이 원칙이다.

전체 학생 수는 150명이다. 학년별 학생 수는 50명이다. 학년별 학급수는 5개며 학급당 학생 수는 10명이다. 현재 국내서 운영 중인 영재고가 부산 한국과학영재학교 등 총 8곳인데 가장 작은 규모다. 부산 한국과학영재학교의 경우 전교생이 400명이다.

AI 바이오 영재고는 윤석열 대통령 공약이다. 애초 공약은 AI 영재고였는데 바이오가 충북 주력산업이라 AI와 바이오를 연계한 영재고로 학교명이 바뀌었다.

도 관계자는 “다른 영재고 상황을 고려할 때 학생들 모집은 문제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학생들은 아침과 저녁값, 체험학습비 정도만 부담하면 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광주시는 AI 영재고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총사업비 871억원은 정부와 광주시가 7대 3으로 분담한다. 건립 예정지는 GIST와 인접한 북구 첨단 3지구 인공지능집적단지 바로 옆 부지 오룡동 468 일원이다. 전체면적 1만5990㎡, 지하 1층~지상 5층 규모의 학습연구동과 기숙사동 2개 동으로 구성된다. 전교생은 150명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