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앨라배마주 헌츠빌의 셔틀버스 운전사인 더글러스 프래셔(57)는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 소식을 듣고 가슴이 먹먹했을지도 모른다. 시간당 10달러를 받고 버스를 운전하는 그는 한때 프래셔 박사로 불린 생명공학자였다. 그것도 올해 노벨화학상 공동수상자인 시모무라 오사무(80), 마틸 챌피(61), 로전 첸(56)이 연구한 분야와 같았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미 뉴욕타임스(NYT)는 17일 프래셔 박사의 인생이 달라지지 않았다면 그 역시 노벨상 무대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인물이 됐을 것이라고 전했다. 프래셔 박사는 챌피와 첸 박사에게 노벨상을 안겨준 녹색 형광단백질(GFP)의 원천 연구를 제공한 주인공이다.GFP는 공동수상자인 오사무 교수가 1961년 해파리에서 추출한 물질로 신경세포의 성장과 암세포의 전이 현상을 생체내에서 관찰하는 데 기여했다.
이 GFP가 매우 유용한 유전자 표지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 과학자가 프래셔 박사였다. 그는 1980년대 미 국립보건원(NIH)에 연구 지원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미국암학회가 그에게 연구비를 지원키로 했지만 2년 뒤 연구비 지원이 중단됐다. 연구 기관을 전전하던 그는 결국 재직했던 우즈 홀 연구소마저 떠나게 됐다. 그 이후 프래셔 박사는 미 농무부에서 해충 연구를 하다가 항공우주국(NASA)으로 옮겼지만 연구 프로젝트가 해체되면서 실직자 신세가 됐다.
그동안 챌피 박사와 첸 박사가 연락해 왔다. 프래셔 박사는 자신이 해온 해파리 유전자 연구를 두 박사에게 넘겼다. 프래셔는 헌츠빌의 도요타 판매회사에서 손님을 태우고 다니는 셔틀버스 운전사가 되어 과학계를 떠났다.
NYT는 이후 두 박사가 프래셔 박사의 연구를 발전시켰고 노벨상까지 거머쥐게 됐다고 소개했다. 프래셔 박사는 “세상에는 나보다 그 상을 수상할 만한 충분한 자격을 갖춘 사람이 더 많다.”면서 “그들(노벨상을 수상한 두 박사)은 전 인생을 바쳐 연구를 발전시켰고 나는 그러지 못했을 뿐”이라고 담담한 어조로 말했다.NYT는 전통적으로 노벨상은 공동 수상자가 3명을 넘지 않는다고 전했다.
안동환기자 sunstory@seoul.co.kr
2008-10-1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