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노동미사일에 核탑재 가능’ 판단 근거는

’北, 노동미사일에 核탑재 가능’ 판단 근거는

입력 2013-02-14 00:00
업데이트 2013-02-14 14: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핵무기 ‘소형화’…ICBM에 탑재는 아직 어려워”

파키스탄과 이란의 경우도 북한의 핵탄두 소형화 성공을 보여준다. 중국이 1980년대 초 파키스탄에 전달한 핵탄두는 지름이 0.8m였다. 파키스탄 과학자들은 핵탄두를 더 작고 가볍게 만들기 위한 연구를 계속해왔다. 첫 지하 핵실험을 실시했던 1998년쯤에는 ‘가우리’ 미사일에 장착할 수 있는 크기의 소형 핵탄두를 이미 개발해놓은 상태였다. 당시 핵탄두의 지름은 0.6m였다.

IAEA 내부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과 광범위한 기술공유를 해온 이란은 2000년대 초 지름 0.55m의 핵탄두 개발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샤하브 3 미사일에 탑재할 수 있는 핵탄두였다.

사실 파키스탄의 가우리 미사일이나 이란의 샤하브 3 미사일은 북한의 노동미사일을 본떠서 만든 것이고 상호 간에 광범위한 기술교류가 있었다. 북한은 핵개발 초기부터 노동미사일에 탑재할 수 있는 핵탄두 소형화에 집중해왔으며 파키스탄과 비슷한 수준의 기술적 진전을 거뒀을 것으로 분석된다. 2000년대 초·중반에는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했을 것으로 보인다.

◇ 파키스탄 ‘핵 대부’의 고백 = 파키스탄 ‘핵개발의 아버지’로 불리는 압둘 카디르 칸 박사는 지난 2004년 북한과의 핵 커넥션이 발각되자 정부 당국에 중요한 내용을 ‘실토’했다. 자신이 방북했을 때 파키스탄보다 “기술적으로 훨씬 진보된 완전한 핵무기”를 보여줬으며, 핵폭발의 기폭장치용 스위치 제조기술도 가르쳐줬다는 것이다.

이는 북한이 1990년대부터 소형 핵탄두 개발을 활발하게 추진해왔음을 보여준다. 파키스탄과 북한은 광범위하게 핵기술 정보를 공유해왔다. 두 나라 모두 탄도미사일에 탑재할 수 있는 핵탄두 소형화에 우선적 노력을 기울였을 것으로 보인다.

◇ “1ㆍ2차 핵실험도 소형화 겨냥” = 북한이 2006년과 2009년 실시한 핵실험은 북한 군부의 주장대로라면 핵 억지력을 확보하려는 차원이었다. 북한이 말하는 핵 억지력은 미사일에 실을 수 있는 핵탄두를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두차례 핵실험은 노동미사일에 핵탄두를 탑재하는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의도였다고 보는 게 합리적이다. 2009년 두 번째 핵실험의 폭발력이 2~7㏏에 그쳤던 것은 핵탄두 소형화의 결과로 볼 수 있다. 핵탄두의 지름 크기에 따라 폭발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 “시간ㆍ노력 들이면 ICBM에 탑재 가능” = 북한은 아직 ICBM에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는 능력은 갖추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시간과 노력을 더 들인다면 북한은 ICBM 탑재용 핵탄두 개발에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추가로 핵실험을 할 경우 더욱 정교한 핵무기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북한은 또 핵탄두의 폭발력을 늘리고 기술적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ICBM 발사실험이 필요할 것이다. 우주공간에 도달한 뒤에 다시 대기권으로 진입하는 과정을 성공시키기 위해 대기권 재진입 운반체와 모의 핵탄두를 이용한 실험을 의미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