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애타는 밤

[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애타는 밤

입력 2024-05-29 03:12
수정 2024-05-29 03: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다리가 부러져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로 들어온 소쩍새.
다리가 부러져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로 들어온 소쩍새.
4월의 어느 밤 올해의 첫 소쩍새 소리를 들었다. 다음날 아침 산책을 다녀온 남편이 찍어 온 소쩍새 사진을 보여 줬다. 인도에 떨어져 있었다고 했다. 보고 싶던 소쩍새와의 바람직한 만남은 아니지만 전직 야생동물구조센터 수의사로서 안 가볼 수 없었다.

누가 치워 버렸으면 어쩌나 했는데, 비도 오고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길이 아니라 그런지 그대로 있었다. 구조센터였으면 알코올솜으로 털을 눕히면서 외상이 있는지 봤을 텐데 알코올솜이 없어서 위생장갑 낀 손으로 털을 이리저리 밀어 봤다. 가슴근육도 아주 빵빵하고 배도 빵빵했다.

어디 부러진 곳은 없는 것 같았다. 멍이 들었는지는 확인하기 어려웠다. 처음 죽었다는 얘기를 들었을 때는 먼 길을 오다가 탈진해서 쓰러지지 않았을까 했는데, 신체 상태를 봐서는 탈진이나 기아는 아닌 것 같았다. 주변에 건물이 없는 인도에 떨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어떤 이유로 도로에 있다가, 또는 도로를 가로질러 건너편 산으로 낮게 넘어가다가 차에 치여 충격을 받고 인도에 떨어진 뒤에 죽은 듯했다. 체격이 큰 걸로 봐서 암컷으로 추정됐다. 건장한 근육질의 암컷이라 번식도 잘했을 것 같아 더욱 안타까웠다.

처음에는 뒷산에서 아스라이 들리던 소쩍새 소리가 점점 가까워지더니 어느 날에는 옆 아파트 단지 내 나무에서 소리가 들렸다. 보고 싶어서 나무 가까이 가자 아마도 소쩍새인 듯한 갈색 새가 휙 하고 다른 나무로 날아갔다. 죽은 소쩍새 말고, 다친 소쩍새 말고 멀쩡한 야생의 소쩍새를 한번 잘 보고 싶은데 그렇게 날아가는 모습만 보게 되니 아쉬웠다. 저 수컷이 그 암컷의 죽음을 알고 있을지 궁금했다.

그리고 며칠 소쩍새 소리가 멀어지더니 이제는 동네 공원에서 소쩍새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쉽게 보기 어렵다는 것을 알면서도 소쩍새가 보고 싶어 밤마다 공원으로 가는 게 일과가 됐다. 매일 밤 소쩍새는 짝을 찾느라 애가 타고, 나는 소리만 들리는 소쩍새를 찾느라 애가 탄다.

그날 그 소쩍새가 그렇게 죽지 않았다면 이 수컷은 이미 짝을 찾았을까? 5월도 벌써 끝을 향해 가고 있다. 날마다 소쩍새의 노래가 계속되고 애타는 나의 밤이 이어지고 있다.

주인 탐조인·수의사

이미지 확대
주인 탐조인·수의사
주인 탐조인·수의사
2024-05-29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