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의 기억이 뒤척일 때』 이슬안 시집/ 달아실
시의 중심은 은유와 운율이다. 독자가 시인의 생각을 좇아 상상의 세계를 그리도록 직설이나 직유 대신 은유 속에 뜻을 숨겨 놓는다. 시 안의 문장이나 단어가 은유일 수도 있고, 시 전체가 은유일 수도 있다. 전체가 은유인 시 중에 멋진 시가 꽤 많다. 고은 시인 ‘그 꽃’, 나태주 시인 ‘풀꽃’, 안도현 시인 ‘너에게 묻는다’, 서정춘 시인 ‘죽편’ 등이 꾸준하고 열렬하게 수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는 이유다. 이 시들의 공통점은 ‘길지 않고, 짧다’는 점인데 짧음은 시인의 노력과 관록이 빚어낸 응축이다.
운율은 리듬이다. 정치인의 출마선언문이나 ‘국민교육헌장’처럼 쓰는 게 아니라 사람의 호흡에 맞추는 장단고저가 있어 마시기에 부드러운 술처럼 문장을 만드는 것이다. 독자가 운율을 의식하지 못하면서도 시가 좋다고 느끼면 운율을 잘 맞췄을 가능성이 높다. 은유와 운율 말고 더 중요한 것이 있다면 ‘남다름’이다. 누구나 뻔히 볼 수 있는 해석, 표현, 의미는 시답잖다. 시인은 어떤 사물과 생각에서 독자가 미처 보거나 이르지 못했던 사실을 멋지게 통찰해내는 혜안을 가진 사람이다.
반세기 전 국민의 힘으로 독재정권을 무너뜨릴 때 시인들의 역할이 지대했다. 민주화 운동에 삶을 걸었던 청년이라면 대개 시집 한두 권은 가슴 속에 품고 다녔다. 베스트셀러에 시집이 오르는 경우도 흔했다. 그랬던 시가 지금은 서점의 서가에서 ‘멸종의 위기’를 맞은 지 오래다. 시인들이 은유에 집착한 나머지 은유에 은유에 은유를 얹어 시를 너무너무 어렵게 비트는 바람에 독자들을 시로부터 쫓아냈다거나, 자기들이 판 샘물을 자기들끼리 마시며 박수 치고 놀다 그렇게 됐다거나, 날이 갈수록 밑바닥을 헤매는 국민 독서량 때문이라는 말들이 있다.
어쨌거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어려운 시국에도 시를 포기하지 않고 고집스럽고 줄기차게 시집을 내왔던 출판사가 달아실인데, 서울이 아닌 춘천에 있다. 박제영 대표 역시 30년 넘도록 묵묵히 시의 길을 걷는 시인인데 ‘문장수선공’을 자처한다. 이슬안 시집 ‘달의 기억이 뒤척일 때’는 달아실 시선 제88집이다. 서울에서 태어난 시인은 광주전남작가회의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목천 가는 길/ 피에타// 성 베드로 성당 안/ 죽은 아들 두 팔에 올려놓고/ 가만히 내려다보는// 가지에서 떨어져 나간/ 마른 잎새 끌어안은/ 초겨울 능선에도// 새끼 잃은/ 젖 불은 어미가 있었다’ (‘피정’ 전문)는 시인의 눈은 깊고 따스하다. ‘만경에서 흘러 나간 강은/ 고부를 떠나 멀리 닿았다/ 마산에서 발원한 샘물은/ 재갈을 품고 범람하였다/ 치욕이 온 산하에 일렁거렸다/ 광주천 상류로 번진 강물/ 짐승들 발자국 따라… …무심히 흐르던 강은/ 비로소 광화문에 이르렀다/ 아스라이 번져가는 촛불 아래/ 강물은 거세게 번들거렸다/ 기어이 큰 바다를 이루었다’(‘민중’ 발췌)는 저항심도 있다. ‘달의 뒤편에 오래도록 서 있었’던 시인에게 ‘여린 달빛이 내어준 마음이 시가 되었다’며 ‘응축을 기다리고 있다’고 시인은 전한다.
최보기 책글문화네트워크 대표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