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7년 대한매일신보 보도로 출범
내년 광복 80주년 맞아 달마다 기념
신간회 창립, 3·1운동 등도 선정돼

국가보훈부 제공·서울신문 DB

국가보훈부는 내년 광복 80주년을 맞아 대한매일신보가 주도한 ‘국채보상운동’을 2025년 1월 ‘이달의 독립운동’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당시 국채보상금 모집 금액표(왼쪽)와 1907년 5월 23일 발행한 한글 전용 대한매일신보(오른쪽).
국가보훈부 제공·서울신문 DB
국가보훈부 제공·서울신문 DB
“국채 1300만원은 바로 우리 대한제국의 존망에 직결되는 것으로 갚지 못하면 나라가 망할 것인데, 국고로는 해결할 도리가 없으므로 2000만 인민들이 3개월 동안 흡연을 폐지하고 그 대금으로 국고를 갚아 국가의 위기를 구하자.”
서울신문의 전신인 대한매일신보 1907년 2월 21일자 지면에는 ‘국채보상운동’을 제창한 대구 광문사 사장 김광제(1866~1920)와 부사장 서상돈(1851~1913)이 밝힌 발기 취지가 실렸다. 대한매일신보를 통해 보도된 이 발기문은 각계각층의 광범위한 호응을 이끌었고 전국 20여개에 달하는 국채보상운동 단체의 창립으로 이어졌다.
대한매일신보가 중심이 돼 펼쳐졌던 국채보상운동이 내년 첫 번째 ‘이달의 독립운동’에 선정됐다고 국가보훈부가 18일 밝혔다. 내년 광복 8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부는 1992년부터 선정해 온 ‘이달의 독립운동가’ 대신 ‘이달의 독립운동’을 선정하기로 했다.
국채보상운동을 괘씸히 여긴 일제는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한 어니스트 베델(1872~1909)과 양기탁(1871~1938)이 국채보상금 3만원을 소비했다는 ‘국채보상금 소비 사건’을 조작하는 등 탄압을 일삼았다. 구속된 양기탁은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를 선고받았지만 일제의 공작으로 운동은 암초에 부딪히며 결국 종지부를 찍게 된다. 비록 좌절로 끝났으나 국채보상운동은 국권 회복을 위한 투쟁으로서 역사적 의의가 남다르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 4~5월 총 121개의 후보가 추천됐고 이 가운데 매월 1건씩 총 12건이 ‘이달의 독립운동’에 선정됐다. 국채보상운동 외에 ‘신간회 창립’(2월), ‘3·1운동’(3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4월), ‘근우회 창립’(5월), ‘6·10만세운동’(6월), ‘광복회 조직’(7월), ‘일장기 말소 사건’(8월), ‘한국광복군 창설’(9월), ‘한글날 제정’(10월), ‘광주학생 독립운동’(11월), ‘13도 창의군 결성’(12월)이 뽑혔다. ‘이달의 독립운동’은 내년에만 진행하며 2026년부터는 다시 ‘이달의 독립운동가’를 선정한다.
2024-12-19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