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집권 2개월 만에 지지율 ‘데드크로스’… 美 국빈 방문 효과에 30% 중반 유지

집권 2개월 만에 지지율 ‘데드크로스’… 美 국빈 방문 효과에 30% 중반 유지

고혜지 기자
고혜지 기자
입력 2023-05-10 00:13
업데이트 2023-05-10 0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취임 1주년’ 국정지지율 37.5%

인사 논란· 잦은 실언·물가 등 악재
역대 대통령 8명 중 2번째로 낮아
공천 개입 논란에 방미 효과 상쇄
대통령실 “초심 잃지 않고 일할 것”

이미지 확대
취임 1년을 맞은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이 37.5%를 기록한 여론조사 결과가 9일 나왔다. 취임 직후 50%대까지 기록했던 것과 달리 윤 대통령의 최근 지지율은 30%대 박스권에 갇힌 모양새다. 1987년 대통령 직선제 시행 이후 역대 대통령의 취임 1년 지지율과 비교하면 윤 대통령은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연합뉴스와 연합뉴스TV가 여론조사업체 메트릭스에 공동 의뢰해 이날 발표한 ‘대통령 취임 1주년 여론조사’ 결과 윤 대통령의 지난 1년간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는 37.5%, 부정 평가는 60%로 각각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6∼7일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다. 무선 전화 면접 100%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18.0%다.

이 밖에 취임 1년을 앞두고 실시된 5월 첫째주 여론 조사에서 윤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한국갤럽 33%, 리얼미터 34.6%로 집계됐다. 미국 국빈 방문 효과에도 전주 대비(한국갤럽 30%, 리얼미터 34.5%)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다.

배철호 리얼미터 수석전문위원은 전날 이와 관련, “‘태영호 녹취록’에 따른 용산 대통령실의 당무, 공천 개입 논란 속에 방미 효과가 증발했다”면서 “지지율 반전이 필요한 시점에 매우 아픈 대목”이라고 분석했다.

윤 대통령 취임 1년 전반을 분석해 보면 지지율은 임기 초에 정점을 찍었다. 구체적 수치로는 윤 대통령이 임기를 시작한 지난해 5월 둘째 주의 직무 긍정률은 한국갤럽 52%·리얼미터 51%였으며 취임 한 달여가 지난 6월 첫째 주에는 소폭 올라 한국갤럽 53%·리얼미터 52%까지 기록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집권 2개월 만인 지난해 7월 첫째주, 역대 대통령 중 가장 빠른 데드크로스를 맞이했다. 데드크로스란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앞서는 현상을 말한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3개월 만에, 노무현 전 대통령이 4개월 만에 데드크로스를 겪은 것보다도 빨랐다. 윤 대통령 지지율 데드크로스 원인으로는 인사 논란과 연이은 실언, 2022년 전 세계 물가 폭등으로 인한 경제 위기 등이 꼽힌다.

이후 계속 하락하던 지지율은 지난해 8월 첫째주 최저인 20%대까지 내려갔다. 이준석 당시 국민의힘 대표의 윤리위원회 징계 처분을 앞두고 이 전 대표와 ‘친윤’(친윤석열) 의원들의 갈등이 격화되면서 하락세가 이어졌고 5세 취학 추진 논란이 더해지며 최저점을 찍었다.

이어 9월에도 미국 순방 중 ‘비속어 논란’이 불거지면서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고전을 면치 못했다. 이후로는 대부분 30%대에서 정체된 모습이다.

한국갤럽의 ‘제13~20대 대통령 취임 1년 직무 수행 평가’ 자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직무 긍정률은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낮다. 역대 대통령들의 취임 1년 직무 긍정률은 문재인(78%)·김대중(60%)·박근혜(57%)·김영삼(55%)·노태우(45%)·이명박(34%)·윤석열(33%)·노무현(25%) 순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지지율에 대해 “국민의 의견은 처음이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로 저희에게 소중하다. 초심을 잃지 않고 열심히 ‘다시 대한민국, 새로운 국민의 나라’라는 바로 서는 대한민국을 위해 하루하루 놓치지 않고 일하겠다”고 밝혔다.
고혜지 기자
2023-05-10 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