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한국판 ‘행복의 조건’/황수정 수석논설위원

[씨줄날줄] 한국판 ‘행복의 조건’/황수정 수석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23-03-30 02:07
업데이트 2023-03-30 0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행복’을 학문의 영역으로 들여온 것은 하버드대였다. 1938년 하버드대 공중보건학부에서 2학년 남학생 268명을 대상으로 전 생애를 추적하는 연구를 시작했다. 당시 백화점 재벌 윌리엄 그랜트가 후원해 ‘그랜트 연구’로 불렸다. 특별한 개입 없이 연구 대상자들의 생애 변화를 관찰하는 ‘종단(縱斷)연구’는 70년 넘게 이어졌다. 2009년 세 번째 연구 책임자였던 조지 베일런트 교수가 70년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행복’이 너무 멀리 있을 때 한 번쯤 챙겨 보는 책 ‘행복의 조건’은 그렇게 나왔다.

이 연구로 ‘행복학의 대가’로 대접받는 베일런트가 꼽은 행복의 조건은 7가지. 고통에 대응하는 성숙한 자세, 교육, 안정된 결혼생활, 금연, 금주, 운동, 알맞은 체중 등이다. 이들 중 하나라도 더 가진 사람이 더 행복하다는 결론이었다. 인간관계의 힘이 행복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도 나왔다. ‘47세 즈음까지 형성된 인간관계’가 충만한 삶의 토양이 되더라는 것. ‘종신’ 연구 대상자 중에는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도 포함됐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연구가 시도된다. 서울대가 조만간 재학생 5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최소 30년 이상 관찰하는 종단연구에 들어간다.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을 골고루 모집해 설문조사 등을 통해 2년 주기로 이들 삶을 추적하기로 했다. 수능 점수가 가장 높은 두뇌 집단의 구성원들은 어떤 삶을 살까. 그 궤적을 간추린 30년쯤 뒤의 학술 보고서는 반향이 클 듯하다. 연구 대상인 학생들이 수십 년 이어질 조사에 성실히 응해야 결실을 볼 쉽지 않은 프로젝트다.

최근 유엔이 발표한 세계행복보고서에서 우리 국민의 ‘행복지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35위였다. 이런 사정이니 ‘한국판 행복의 조건’ 연구는 더 서둘렀어야 했는지 모르겠다. 2010년 국내 출간된 베일런트의 책은 지금까지 무려 58쇄를 찍었다.

그래서, 행복학 연구자들은 ‘행복’의 실체를 손에 넣었을까. 베일런트는 어느 저술에서 이렇게 고백했다. “(인간 삶은) 과학으로 판단하기에는 너무나 인간적이고, 숫자로 말하기에는 너무나 아름답고, 학술지에만 실리기에는 영구불멸의 존재”라고. 평생을 연구했어도 인간의 행복은 ‘규정 불가’라는 자기 고백으로 읽힌다.
황수정 수석논설위원
2023-03-30 2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