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평택 SPL 제빵공장 사망 사고는 ‘예고된 인재’

평택 SPL 제빵공장 사망 사고는 ‘예고된 인재’

홍인기 기자
홍인기, 김정화 기자
입력 2022-10-18 16:58
업데이트 2022-10-18 16: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고 다음날도 공장 돌아가
핏자국 옆에서 일한 동료직원들
고용노동부, 수사전담팀 구성
경찰, SPL 안전책임자 입건

평택 제빵공장서 숨진 20대 근로자 추모제
평택 제빵공장서 숨진 20대 근로자 추모제 17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SPC 계열 SPL 제빵공장에서 지난 15일 소스 교반기계에 끼여 숨진 20대 근로자 A씨 추모제가 열리고 있다. 2022.10.17 연합뉴스
경기 평택 제빵공장에서 발생한 20대 여성 노동자의 사망 사고는 회사의 안이한 안전의식이 불러온 ‘예고된 인재’라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평택경찰서는 18일 SPC 계열의 빵 재료 제조업체인 SPL 안전책임자 A씨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형사 입건했다. A씨는 지난 15일 B(23)씨가 샌드위치에 들어가는 소스 교반기(액체 등을 휘저어 섞기 위한 기계)에서 일하다가 기계 안으로 빨려 들어가 숨진 사고와 관련해 안전 조치 의무를 게을리한 혐의를 받는다.

경찰 관계자는 “회사 관계자들을 상대로 ‘2인 1조 근무’를 제대로 준수했는지를 포함해 안전 관리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도 “회사에서 2인 1조 작업을 내부지침 등으로 규정해 놨다면,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에 대해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노동계와 경찰 등에 따르면 SPL 평택공장은 사고가 발생한 교반기에 끼임 사고 방지 장치(인터록)를 비롯해 어떠한 안전장치를 설치하지 않았고, 사고 다음날인 16일에도 사고가 난 곳만 흰색 천으로 가린 채 바로 옆에서 빵을 만드는 작업을 이어 갔다. 동료 직원에 대한 임시 격리나 트라우마 치료와 같은 조치 없이 사고 현장 바로 옆에서 일을 시킨 것이다. 고용노동부가 사고 당일인 15일 초동 조사를 했을 때도 교반기 9대 중 2대에만 인터록이 부착돼 있었다고 한다.

지난 16일 현장을 방문한 이은주 정의당 의원실 관계자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감식이 끝나지 않아 핏자국이 있는 곳 바로 옆에서 다른 직원들이 빵을 포장하는 작업을 하고 있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강규형 화섬식품노조 SPL 지회장도 “흰색 천막만 쳐놓고 라인을 가동했다”며 “노동자를 어떻게 취급하는지 알 수 있지 않느냐”고 했다.

고용부는 사고 직후 작업 중지 명령을 내리지 않았던 교반기 2대에 대해 추가로 작업 중단을 지시했고, 동료 직원들의 트라우마를 고려해 샌드위치 공정 전체에 대한 작업 중지도 권고했다. 회사는 뒤늦게 고용부의 권고를 수용해 해당 공정의 작업을 중지한 상태다.

최태호 고용부 산재예방감독정책관은 이날 설명회를 열고 “수사전담팀이 철저한 원인 조사와 엄정한 수사를 통해 사고 책임 소재를 명확하게 규명할 것”이라며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체계 등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고 유사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사고 현장에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지 않아 정확한 사고 경위 파악에 시간이 걸리고 있지만 노조 측은 B씨가 당시 10~20㎏의 소스통을 혼자 교반기에 붓다가 몸이 한쪽으로 기울면서 기계에 빨려 들어갔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동안 공장 직원들은 안전 펜스 설치 등을 요구해 왔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불과 일주일 전인 지난 7일에도 같은 공장에서 손 끼임 사고가 발생했지만 회사는 별다른 안전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사고 이후 회사 측이 보인 대응에 실망한 소비자들 사이에선 SPC 불매 움직임도 확산하고 있다. SPC 브랜드 중 각종 식음료 브랜드를 공유하고 불매 리스트를 만드는 식이다.
온라인에 공유되고 있는 SPC 브랜드 목록. 트위터 캡처
온라인에 공유되고 있는 SPC 브랜드 목록. 트위터 캡처
김정화·홍인기 기자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