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러시아 파견 北노동자들, 우크라 투입 명령에 필사 탈출”

“러시아 파견 北노동자들, 우크라 투입 명령에 필사 탈출”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2-10-12 10:55
업데이트 2022-10-12 11: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9년 백두산을 오른 노동당 선전일꾼 답사 행군대. 2019.12.11  조선중앙TV 연합뉴스
2019년 백두산을 오른 노동당 선전일꾼 답사 행군대. 2019.12.11
조선중앙TV 연합뉴스
러시아 파견 북한 건설 노동자들의 도주 사례가 늘었다고 4일(이하 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보도했다. RFA는 아직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 돈바스 재건 현장에 투입될 거란 소문이 나돌면서 북한 노동자들이 크게 동요하고 있다고 전했다.

러시아의 한 고려인 소식통은 RFA에 “요즘 건설현장에 북한 노동자들이 보이지 않는다. 우크라이나 이동설 때문에 노동자 탈출이 늘면서 지휘부에서 내부 단속을 위해 작업 중단을 지시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소식통은 “군인들로 구성된 건설회사부터 곧 우크라이나 돈바스 공사장으로 이동할 것이니 9월 말까지 밀린 과제를 결산하고 대기하라는 지시가 평양에서 내려왔다. 이후 많은 노동자가 탈출했다. 건설 노동자뿐만 아니라 관리직 직원들도 탈출하고 있다. 북한 노동자들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사실을 잘 알고 있다”고 밝혔다. 혹여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서 목숨을 잃을까 두려워 북한 노동자들이 필사적으로 탈출하는 거란 설명이다.

실제로 지난 7월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는 자국 일간지 이즈베스티야와의 인터뷰에서 “전쟁으로 파괴된 돈바스 지역 재건에 북한 노동자들이 투입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소식통에 따르면 현재 러시아에 노동자를 파견한 북한 회사는 대외건설지도국 산하의 7총국과 8총국이다. 그 외 대흥지도국과 항공련합위원회, 당 호텔관리국, 무력부, 국가보성, 대외경제성, 경공업성 등 일부 북한회사와 기관들이 러시아에 노동자를 파견해 외화벌이를 하고 있다.

소식통은 “대외건설지도국 산하 회사는 적게는 30~50명, 많게는 200명 이상의 노동자를 한 조로 묶어 공사현장에 투입 중이다. 또 미래건설회사와 남강무역회사, 지흥건설회사는 현역군인들로 구성된 건설회사”라고 덧붙였다.
러시아 건설현장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러시아 건설현장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러시아 극동 블라디보스토크에서도 같은 현상이 벌어진 걸로 알려졌다. 또 다른 소식통은 RFA에 “일부 북한회사의 노동자 관리 간부가 연이어 사라지는 사건이 발생해 비상이 걸린 걸로 안다”고 전했다. 다만 이 소식통은 러시아 파견 북한 노동자나 관리 간부가 탈출하는 사건은 과거에도 종종 있었다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연만이면 국가계획과제 결산을 보고하고 연간 과제금과 노동자 1년치 월급을 정산해야 하는데, 현지 회사에서 공사비를 받지 못한 일부 회사 직장장(총책임자)과 간부들이 총화(평가) 이후 처벌이 두려워 탈출하곤 했다”고 부연했다. 또 과도한 노동에도 돈을 벌지 못한 노동자들이 항의하다 탈출하기도 한다고 소식통은 지적했다.

그는 그러나 “올해는 유독 공사비를 받지 못한 회사들이 많아 분위기가 뒤숭숭하다. 특히 북한 영사관에서 돈바스 이동 대기 지시를 내리면서 탈출자가 속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2018년 12월 러시아 외무부 발표에 따르면 같은 해 9월 기준 2만 1000여 명의 북한 국적 노동자가 러시아에 체류 중이다. 이 중 1만 9000여 명이 공장과 농장,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파견 근로자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017년 마지막으로 의결된 대북 제재 결의 2397호에 따라 해외 체류 북한 노동자들을 2019년 12월 22일까지 본국으로 전원 철수하도록 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국내 노동력 부족을, 북한은 외화 벌이를 이유로 노동자들을 붙잡아 두고 있다.
권윤희 기자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