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건설·조선·자동차까지… 울산發 ‘8월 하투’ 먹구름

건설·조선·자동차까지… 울산發 ‘8월 하투’ 먹구름

박정훈 기자
박정훈 기자
입력 2019-07-31 22:44
업데이트 2019-08-01 01: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차, 8년째 파업 결의… 회복세 ‘찬물’

현대重, 임단협에 물적분할 갈등 겹쳐
레미콘·플랜트 등 건설노조도 총파업
산업계 “경제불황 가중… 악순환 끊어야”
이미지 확대
31일 오후 울산시청 앞에서 열린 ‘레미콘 노동자 생존권 사수 건설노동자 결의대회’에 참가한 건설노조 조합원들이 운송비 인상 등을 요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울산 연합뉴스
31일 오후 울산시청 앞에서 열린 ‘레미콘 노동자 생존권 사수 건설노동자 결의대회’에 참가한 건설노조 조합원들이 운송비 인상 등을 요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울산 연합뉴스
경기침체 속에서 국내 자동차·조선·건설 산업의 메카인 울산을 중심으로 ‘8월 하투(夏鬪·여름투쟁)’가 본격화하고 있다. 플랜트와 레미콘 등 건설노조가 이미 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8월 중순 자동차와 조선노조까지 합류한다. 연례행사지만 생산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어 산업계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있다.

31일 현대자동차 노조에 따르면 전체 조합원 70.5%의 높은 찬성률로 올해 파업 찬반투표안이 전날 가결됐다. 올해까지 8년 연속 공장 가동을 멈추는 것으로, 모처럼 살아나던 현대차 실적에 먹구름이 끼게 됐다.

노조는 여름휴가 기간 직후인 8월 중순부터 본격적인 파업을 시작한다. 앞서 지난 22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했고, 1일 조정 중지 결정이 나오면 합법적인 파업에 들어갈 수 있다. 현대차 노사는 최근까지 16차례 교섭을 벌였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노조는 정년 연장을 요구하고 있지만, 사측은 막대한 인건비가 추가로 지출된다는 점 등을 들어 난색을 표했다.

현대차 노사는 예년에도 몇 차례 파업 끝에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 파업이 진행되면 인기 차종인 팰리세이드 등의 생산 차질이 불가피하다. 노조는 지난해 2차례 부분파업을 벌여 회사 추산 1만 1487대(2502억원 상당) 규모의 생산 차질을 빚었다.

현대중공업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올해 임단협뿐 아니라 회사의 물적분할과 관련한 갈등도 여전하다. 노조는 휴가 복귀 후 8월 중순쯤 파업에 나선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지난 5월 중순부터 회사 물적분할에 반대하며 점거농성과 파업을 벌였고, 8월 휴가 전까지 물적분할 주총 무효소송, 부분파업 등으로 사측과 맞섰다. 지난 5월 초 상견례 이후 2개월 넘게 중단된 임단협 관련 쟁의행위 찬반투표도 최근 가결했다.

7월부터 파업에 들어간 레미콘과 플랜트 등 건설노조는 파업 수위를 점차 높이고 있다.

이날 건설노조 울산건설기계지부 레미콘지회 등 건설노조 조합원 3500여명은 울산시청 앞에서 운송비 인상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 결의대회를 가졌다. 앞서 전날에는 조합원 400여명이 울산시청 광장과 로비에서 농성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노조 간부 등 38명이 경찰에 연행돼 조사를 받았다. 경영환경 악화 등을 이유로 울산지역 16개 레미콘 제조사가 운송비 동결을 주장하고 있어 쉽게 합의점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전국플랜트건설노조 울산지부 조합원들도 지지부진한 올해 임단협 교섭을 이유로 부분파업을 이어 가고 있다.

울산지역 산업계와 시민들은 경기침체 속에서 매년 되풀이되는 파업의 악순환을 끊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울산 상공계 관계자는 “자동차 산업의 급격한 시장환경 변화와 국내외 경제의 불확실성 가중, 그리고 지역경제 저성장 심화 등으로 울산은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파업 수순을 밟는 것은 경제불황을 더욱 가중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2019-08-01 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