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日연구자 “징용 조선인 군인·군무원 13만명 명부 증발”

日연구자 “징용 조선인 군인·군무원 13만명 명부 증발”

입력 2016-04-08 09:23
업데이트 2016-04-08 09: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케우치 씨, 日정부 집계 37만→24만 명 축소 경위 연구 논문

일제에 징용된 조선인 군인·군무원 가운데 약 13만 명의 이름과 신상 기록이 일본 정부가 보유한 명부에서 누락됐다고 일본인 연구자가 밝혔다.

일제 강제동원 문제를 연구해온 일본인 역사 연구가 다케우치 야스토(竹內康人·59)씨가 일본 방위성 자료 등을 토대로 작년말 ‘오하라(大原)사회문제연구소 잡지’에 발표한 논문 ‘조선인 군인·군속(군무원)의 강제동원수-37만명 이상의 동원과 지워진 성명불상의 13만명’에서 이 같은 실태가 소개됐다.

8일 연합뉴스가 입수한 논문에 의하면, 1956년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 제1과가 만든 ‘조선인 전몰자 유해 문제에 관한 건’ 자료에서 일제에 징용된 조선인 군인·군무원 수는 육군 25만 7천 명, 해군 약 12만 명 등 합계 37만 7천 명으로 적시됐다.

그러나 한일국교정상화 협상이 본격 진행되던 1962년 일본 후생성은 ‘조선재적 구(舊)육해군 군인군무원 출신자별 통계표’에서 조선인 군인·군무원의 수를 육군 14만 3천 373명, 해군 9만 8천 968명 등 합계 24만 2천 341명으로 정리했다.

6년 사이에 육군 11만여명, 해군 2만여명 등 징용된 조선인 군인·군무원 약 13만 명이 일본 정부 통계에서 빠진 것이다.

다케우치는 이처럼 조선인 피징병자수가 대거 ‘증발’한 것은 일본 정부가 보유 중인 명부에 이름이 남아 있지 않은 사람은 통계에서 뺐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부대 원부(原簿)와 유수(留守) 명부(일본 후생성이 일제 강점기에 강제 징병된 한국 군인·군무원 등의 병적<兵籍>을 일본 부대장들의 보고를 토대로 작성한 문서) 등을 토대로 1950년대 집계한 조선인 징용 군인·군무원은 37만여명이었지만 그 중 명부에 이름이 남아있지 않은 13만여명을 뺀 채로 1962년 재집계했다는 것이다.

그 근거로 다케우치는 일본 정부가 육군의 경우 명부에 이름이 남아 있는 피징병자를 ‘명부 내(內)’, 남아있지 않은 사람을 ‘명부 외(外)’로 분리한 채 통계 자료를 만든 사실을 확인했다고 소개했다. 육군 ‘조선인 인원표’ 상에 ‘명부 내’로 분류된 사람 수는 1962년 후생성 통계치와 거의 일치했다고 다케우치는 밝혔다.

다케우치는 “일본군의 조선인 군인·군무원 명부 관리가 엉망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한 뒤 “역사는 결국 사람들의 이름을 복원하는 일”이라며 “존재했으나 명부가 없다는 이유로 50년 이상 그 존재가 ‘지워진’ 약 13만 명에 대해 일본 정부는 진상을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선인 군인·군무원 동원은 최초 1938년 육군지원병제도가 도입되면서 진행됐다. 이후 일제는 태평양전쟁 말기인 1944년 갈수록 불리해지는 전황 속에 조선에서 징병제를 도입, 이듬해 패전할 때까지 징병했다.

논문 저자인 다케우치는 2005년 일본 내 시민단체인 강제동원진상규명네트워크 결성에 참여했으며, ‘조사·조선인 강제노동’ 시리즈를 포함한 강제징용 관련 저서를 다수 집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