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3포 세대’의 초상…작년 혼인율 최저·女초혼연령 30대 진입

‘3포 세대’의 초상…작년 혼인율 최저·女초혼연령 30대 진입

입력 2016-04-07 13:53
업데이트 2016-04-07 13: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5년 혼인·이혼통계…위기의 황혼·신혼부부, 전체 이혼의 절반 이상이혼율, 18년 만에 최저…혼인 건수 줄어든 영향

지난해 혼인율이 또 떨어져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혼인 건수는 12년 만에 가장 적었다.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처음으로 30대에 진입했다.

안정적인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워지면서 결혼·연애·출산을 포기한 이른바 ‘3포 세대’가 늘어난 탓이다.

혼인 건수가 줄어 이혼율도 1997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결혼 생활이 20년 이상 된 부부와 4년 이하 부부의 이혼은 전체의 절반을 넘었다.

통계청은 7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5년 혼인·이혼 통계’를 발표했다.

◇ 불경기에 결혼도 안 한다…1천 명당 결혼 6건도 안 돼

지난해 혼인 건수는 30만2천800건으로 전년보다 0.9% 감소했다.

혼인 건수는 2003년 30만2천500건 이후 가장 낮았다.

인구 1천 명당 혼인 건수를 따지는 조혼인율은 더욱 심각했다.

조혼인율은 5.9건으로 1970년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조혼인율은 2011년 6.6건을 기록한 이후 2012년 6.5건, 2013년 6.4건으로 꾸준히 하락세를 보였다. 2014년에는 6.0건으로 급감하더니 작년에는 6건대의 ‘벽’도 무너졌다.

평균 초혼연령은 남녀 모두 전년보다 각각 0.2세 상승한 32.6세, 30.0세로 조사됐다.

여성의 평균 초혼연령이 30대에 진입한 것 역시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남성의 초혼연령은 1.7세 상승했고 여성은 2.2세 올랐다.

남녀 간의 평균 초혼연령 차이는 2.6세로 나타났다. 연령 차이도 2006년 3.2세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 추세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혼인 건수 감소에 대해 “혼인 주 연령층인 20대 후반∼30대 초반 남녀 인구가 전년보다 20만명 정도 줄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경기 부진이 겹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 과장은 “2015년의 경우 경제성장률이 둔화됐고 20∼30대 실업률이 전년대비로 많이 개선되지 못한 영향도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며 “남녀 모두 학력이 높아지고 취업까지 걸리는 기간이 늘어나는 점은 초혼 연령을 높이는 이유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전체 혼인에서 여자 연상 부부 비중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여자 연상 부부 비중은 전년보다 0.1%포인트 증가한 16.3%였다. 2005년보다는4.2%포인트 확대됐다.

남자 연상 부부 비중은 67.6%, 동갑 부부는 16.0%를 차지했다. 둘 다 전년보다 0.1%포인트씩 줄어들었다.

해당 연령 인구 1천 명당 혼인 건수를 뜻하는 연령별 혼인율을 보면 남성의 경우 30대 초반이 62.4건으로 가장 높고 그다음이 20대 후반(41.2건)이었다.

20대 후반에선 연령별 혼인율이 전년보다 1.5건으로 감소했으나 30대 초반은 1.4건 증가했다.

여성에서는 20대 후반이 72.9건으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이 30대 초반(51.8건)으로 나타났다. 30대 초반 여성의 혼인율은 10년 전(26.3건)에 비해 약 2배 증가했다.

시도별로 보면 조혼인율의 경우 젊은 인구 비중이 많은 세종(8.2건), 서울(6.5건), 울산(6.4건)이 높았고 전남·전북(4.9건)이 가장 낮았다.

평균 초혼연령에서는 서울이 남성(33.0세), 여성(30.8세) 모두 가장 높았다.

외국인과의 혼인은 2만1천300건으로 전년보다 8.8% 감소했다. 외국인과의 혼인 비중도 전체의 7.0%로 0.6%포인트 감소했다.

◇ 20년 이상 부부 이혼 10년 전보다 1.4배 증가

작년 이혼 건수는 10만9천200건으로 전년보다 5.5% 줄었다.

조이혼율은 2.1건으로 1997년(2.0건) 이후 최저 수준으로 나타났다.

배우자가 있는 인구 1천 명당 이혼 건수인 유배우 이혼율은 4.4건으로 2000년 이래 최저치였다.

이지연 통계청 과장은 “혼인 건수가 줄면 몇 년의 시차를 두고 이혼 건수도 감소한다”며 “특히 5년 미만 혼인에서 이혼이 많은데, 2011년부터 혼인 건수가 계속해서 감소한 점이 이혼율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특히 황혼 부부의 이혼이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20년 이상 부부의 이혼은 3만2천600건으로 2005년(2만3천900건)보다 1.4배 늘었다. 30년 이상 부부의 이혼도 지속적으로 늘어 작년에는 1만400건으로 10년 전(4천800건)보다 2.2배 증가했다.

20년 이상 부부의 이혼은 전체의 29.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황혼 부부만큼은 아니지만 위기의 신혼부부도 많았다.

4년 이하 부부의 이혼은 전체의 22.6%를 차지해 20년 이상 부부 다음으로 많았다. 20년 이상 부부와 4년 이하 부부의 이혼이 52.5%를 차지하는 셈이다.

이혼 부부의 평균 혼인 지속기간은 14.6년으로 조사됐다. 10년 전보다 2.6년 늘었다.

평균 이혼연령은 남성 46.9세, 여성 43.3세로 전년보다 각각 0.4세, 0.5세 상승했다.

미성년 자녀가 있는 부부의 이혼 비중은 전체의 48.4%, 미성년 자녀가 없는 부부의 이혼은 50.9%로 나타났다.

시도별로 보면 조혼인율은 인천(2.5건), 제주(2.4건)가 높았다. 서울(1.8건), 대구(1.8건), 세종(1.9건)은 하위권이었다.

외국인과의 이혼은 8천200건으로 전년보다 15.6% 줄었다. 전체 이혼 중에서 외국인 배우자와의 이혼은 7.5%로 0.9%포인트 감소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