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CEO 칼럼] 울타리를 허물자/김중겸 현대건설 사장

[CEO 칼럼] 울타리를 허물자/김중겸 현대건설 사장

입력 2010-01-11 00:00
업데이트 2010-01-11 0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중겸 현대건설 사장
김중겸 현대건설 사장
요즘엔 담장이 따로 없는 학교나 관공서를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높다란 콘크리트 담장 대신 주민들을 위한 가로 공원이나 쉼터를 조성해 공간을 아예 개방해 놓은 것이다. 그랬더니 도시 미관도 살고, 그 안에 사는 사람들도 신명이 났다.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돼온 이른바 ‘담장 허물기’ 운동은 이젠 아름다운 지역사회 만들기의 교본처럼 돼버렸다.

담을 쌓거나 울타리를 치는 것은 어찌 보면 지극히 자연스러운 행위다.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내 자신의 영역을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 원시 이래 인간의 속성이기 때문이다. 초록은 동색, 가재는 게 편이라고 했듯이 인간은 비슷한 태도나 취향을 갖고 있는 사람들끼리 어울리고 비슷한 행동을 하려는 특징이 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타인들과 구별하는 울타리가 형성된다.

하지만 한번 쌓은 담장은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게 문제다. 타인에 대한 불신과 두려움이 커질수록 담장은 높아지고, 담장이 높아질수록 불신과 두려움이 더욱 커지는 악순환에 빠지기 쉽다. 오죽했으면 ‘담을 쌓는다.’라는 의미가 ‘의좋게 지내던 관계를 끊고 서로 철저하게 등지고 사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게 되었을까.

그러니 이젠 담을 쌓기보단 허무는 일에 더 신경을 써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어떤 분야에서든 ‘내 편’ 아니면 ‘네 편’ 식의 편 가르기가 뿌리 깊고, 나쁜 의미의 ‘끼리끼리’ 문화가 너무 만연해 있기 때문이다.

배타적인 순혈주의나 지역 이기주의, 학연, 지연 등의 폐해를 우리는 너무도 잘 알고 있다. 더구나 자신만의 고유영역에만 집착하며 외부를 향해 담을 쌓는 기업은 끝내 생존경쟁에서 도태할 수밖에 없는 것이 오늘날 글로벌 경제의 현실이다.

지난해 3월 사장 취임과 함께 조직개편을 단행하면서 회사 내부에도 전문 분야별로 보이지 않는 ‘울타리’가 있다는 걸 실감했다. 각 본부에 흩어져 있는 업무와 기능 가운데 서로 함께 묶어 놓으면 시너지가 생길 만한 업무영역을 한데 통합하는 것이 개편의 핵심이었다. 하지만 조직개편이 으레 그렇듯이 각기 다른 전문분야들을 분리하고 통합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진통을 겪어야 했다. 오랜 기간 형성돼온 내부의 담장을 하나하나 허무는 것이 무엇보다 힘겨운 과제였다.

우리가 내부건 외부건 울타리를 허물어야 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하나의 전문영역과 지식만으로는 더 이상 경쟁하기 힘든 시대를 살고 있기 때문이다.

고인 물이 썩듯이 닫힌 공간에서는 패러다임 마비에 빠지기 쉽다. 고정관념의 틀을 벗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려면 담장을 부수고 넘어서야 한다. 낡은 것과 결별하고 기득권을 뛰어넘는 ‘창조적 파괴’만이 새로운 시대의 생존법칙이다.

건설 분야의 최근 트렌드인 컨버전스와 융합도 기본적으로는 ‘울타리 허물기’라고 할 수 있다. 과감히 담장을 허물고 전통 건설기술과 정보기술(IT), 생명기술(BT), 나노기술(NT), 로봇기술(RT) 등 이종 영역 간에 적극적인 융합을 모색하지 않으면 새로운 상상력을 얻을 수도,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도 없는 시대다.

날로 다양화·고도화하는 고객 니즈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도 고유영역이라는 이름의 닫힌 공간을 탈피해야 한다. 울타리 허물기는 그야말로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세계를 놀라게 한 대한민국의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원전 수주 역시 개인적으로는 울타리 허물기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싶다. 사업총괄, 설계, 정비, 원자로와 터빈발전기, 시공 등 각기 다른 분야에서 경쟁우위를 구축해 온 국내 기업들이 서로의 담장을 부수고 함께 손을 잡고 시너지를 창출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융합의 시대를 성공적으로 헤쳐 나가기 위해서는 울타리 허물기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할 것 같다.
2010-01-11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