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혁림 미술관 관장 전영근 화백
63회 칸 영화제 수상작 ‘하하하’에는 작곡가 윤이상, 소설가 박경리, 시인 김춘수 등 통영이 배출한 문화예술인 숫자에 주인공이 깜짝 놀라는 대목이 등장한다.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재직 당시 미술관에 들러 직접 구입해 화제가 됐던 고 전혁림 화백 그림 ‘통영항’. 작은 사진은 전 화백.
대를 이은 화가이자 ‘전혁림 미술관’ 관장을 맡고 있는 아들 전영근(52) 화백은 27일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지금은 경황이 없어서 못 하지만 차후 직접 디자인을 해 작은 조각으로 아버지 묘를 꾸밀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어 “아버지께서는 지난해 12월까지 붓을 놓지 않으셨다.”고 말했다. 이 신작들을 모아 전 관장은 올 4월 서울 인사동에서 부자(父子) 전을 열기도 했다. 그는 “매일 새벽 5시면 어김없이 캔버스 앞에 앉으셨고, 돌아가시기 직전까지 규칙적인 생활에는 변함이 없었다.”고 회고했다.
‘통영의 피카소’로 불린 전혁림 화백은 김춘수, 유치환, 윤이상 등 통영이 배출한 문화예술인과도 깊은 우애를 나누었다. 특히 김춘수 시인은 1995년 전 화백의 팔순연에 참석한 뒤 “당신 얼굴에는/ 웃니만 하나 남고/당신 부인께서는/위벽이 하루하루 헐리고 있었지만/ 코발트 블루/ 이승의 더없이 살찐 /여름 하늘이/당신네 지붕 위에 있었네”란 시를 남겼다. 전 화백과 통영 출신 문화예술인들은 1945년 통영문화협회를 창립하기도 했다.
2003년 5월 세운 전혁림 미술관은 “예술과 문화는 국적이 있어야 한다. 국적 있는 그림이 세계적 그림”이라고 강조했던 전 화백의 뜻에 따라 ‘가장 통영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는 믿음으로 만들어졌다. 미술관의 외형은 등대와 사찰의 전통 탑을 본떴고 외벽은 전혁림 화백과 전영근 화백의 작품을 타일로 구워 장식했다.
1916년 통영에서 태어난 전 화백은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 상황 탓에 독학으로 그림을 익힌 뒤 90대의 나이에도 신작을 내놓아 젊은 작가들의 귀감이 됐다.
발인은 29일 오전 11시. 장지는 경남 고성 이화공원이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0-05-28 2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