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 패션의 불편한 진실

패스트 패션의 불편한 진실

입력 2013-06-29 00:00
업데이트 2013-06-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는 왜 패스트 패션에 열광했는가] 엘리자베스 L 클라인 지음/윤미나 옮김/세종서적/320쪽/1만 3000

전 세계적으로 패스트푸드만큼 일상이 된 패스트 패션의 실상을 낱낱이 파헤친 책이다. 싸다는 이유로 부담없이 사들인 SPA, 일명 패스트 패션 브랜드 옷들로 옷장은 넘쳐나는데 아침마다 입을 옷이 없어서 고민하는 여성 혹은 남성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이야기다.

미국인 여성인 저자는 H&M, 올드 네이비, 포에버 21, 타깃 등 저가 패션유통업체에서 30달러(약 3만 4000원) 미만의 옷들만 쇼핑해 온 패스트 패션 마니아였다. 어느 날, 케이마트에서 15달러짜리 캔버스화가 7달러까지 가격이 내려간 것에 흥분해 같은 디자인의 신발을 7켤레나 산 그녀는 한 계절도 지나기 전 밑창이 떨어져 나가는 싸구려 신발들을 보면서 문득 자신이 10년 동안 고수해 온 패스트 패션 쇼핑에 대해 회의를 느낀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패스트 패션의 실체와 폐해를 파고드는 작업에 뛰어든다.

패스트 패션은 저렴한 가격에 유행하는 옷을 누구나 입을 수 있다는 장점으로 사람들을 사로잡았다. 점심값, 커피값 정도의 티셔츠나 바지를 사면서 소비자들은 품질을 크게 기대하지는 않는다. 패스트 패션의 품질은 몇 번 빨아서 입을 수 있느냐가 기준일 뿐이다. 저가 옷들이 넘쳐 나면서 옷 소비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무분별한 쇼핑으로 미국인 전체가 한 해 사들여 쌓아두는 옷은 200억벌에 이른다.

패스트 패션은 의류 산업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끼쳤다. 내수 의류 산업은 몰락했고, 값싼 인력을 찾아 중국에 이어 방글라데시 등 제3국으로 의류 공장이 이동하면서 열악한 근로환경과 노동착취 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됐다.

최근 방글라데시에서 발생한 의류 공장 붕괴 참사는 패스트 패션의 불편한 진실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플라스틱계 섬유질 원단의 옷들은 80% 이상이 폐기될 수밖에 없어 환경을 파괴하는 주범이다.

우리나라에도 자라, 유니클로, 에잇세컨즈 등 국내외 패스트 패션업체들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 패스트 패션의 이면을 알고 나면 품질 대비 가격만을 따지는 ‘합리적 소비’ 대신 노동환경과 지구환경의 미래까지 내다보는 ‘현명한 소비’의 필요성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보게 된다.

이순녀 기자 coral@seoul.co.kr

2013-06-29 18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