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실종 문자

[길섶에서] 실종 문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24-05-28 01:12
수정 2024-05-28 0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얼마 전 치매를 앓는 부친을 모시는 지인과 이런저런 얘기를 나눴다. 고충이 크겠다고 하니 아버지의 어진 성품이 달라지지 않아 큰 어려움은 없다고 한다. 그래도 한 가지 고충이 있는데 간혹 말씀 없이 집 밖에 나가셨을 때란다. 대체로 집을 잘 찾아오시긴 하는데 최근 들어 두어 번 길을 잃으신 적이 있어서다. 한번은 나가신 지 두 시간이 지나도록 들어오시질 않아 온 식구가 나가 동네를 샅샅이 뒤져 한 나절 만에 찾은 적도 있다고 했다.

지난달에도 비슷한 사태가 발생해 119에 실종신고를 해 신고 1시간 만에 찾았다고 한다. 관할 지방자치단체가 띄운 실종 문자를 본 주민이 바로 부친을 알아보고 연락해 왔다는 것이다. 시도 때도 없이 뜨는 실종 문자를 귀찮아한 나로선 뜨끔할밖에. 알고 보니 2021년 실종 문자 도입 이후 실종 아동 발견 시간이 10분의1로 단축됐다고 한다. 지인의 얘기를 듣고부터는 실종 문자를 볼 때마다 치매 부모나 아이를 찾는 가족의 애타는 마음이 진하게 느껴진다.

임창용 논설위원
2024-05-2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