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잠 깬 지리산 ‘반달곰’…절대 ‘이 행동’ 하면 안됩니다

겨울잠 깬 지리산 ‘반달곰’…절대 ‘이 행동’ 하면 안됩니다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3-05-25 15:16
수정 2023-05-25 15: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리산 내 반달곰 86마리 서식
“먹을 것 주거나 사진 찍으면 안 돼”
“등을 보이며 뛰는 행동 절대 금지”

이미지 확대
지리산 반달가슴곰. 국립공원관리공단
지리산 반달가슴곰. 국립공원관리공단
생각하지도 못한 장소에서 곰과 마주친다면 어떤 상황이 벌어질까. 아마 혼비백산 줄행랑을 놓을 것이다. 곰을 마추친다면 절대 등을 보이며 뛰는 행동을 하면 안 된다.

지리산 반달가슴곰이 동면을 끝내고 활동을 시작했다. 이에 지리산 등반 시 정해진 탐방로 이용이 요구된다.

25일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에 따르면 올해 태어난 새끼 반달가슴곰 7마리를 포함해 총 86마리가 지리산에 서식하고 있다.

새끼를 출산한 어미 반달가슴곰은 보호 본능이 강해 주의가 요구된다.

환경부와 공단에 따르면 탐방로에서 벗어날수록 마주칠 확률이 높다. 환경부가 지난 10년간 지리산에서 수집된 반달가슴곰 위치정보 3만여건을 분석한 결과, 탐방로 주변 10m 이내에서 관찰된 빈도가 0.44%에 불과했다.

100m 이내는 2.86%, 1㎞ 이내는 61.43%로 탐방로에서 멀어질수록 활동 빈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와 공단은 주요 탐방로와 샛길 입구 등 주요지점 450곳에 반달가슴곰 출현지역을 알리는 현수막을 설치하고 탐방객에게 종, 호루라기 등 안전사고 예방 물품을 배포할 예정이다.

특히 탐방객과 반달가슴곰이 마주치지 않도록 무인 안내방송시스템을 확대하고 대피소와 탐방로마다 곰 활동지역과 대처요령 등을 적극 안내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곰을 만나면 먹을 것을 주거나 사진을 찍고, 등을 보이며 뛰는 행동을 하면 안 된다”며 “곰이 멀리 있는 경우 조용히 그 자리에서 벗어나고, 혹여나 공격당할 경우에는 막대기 등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 저항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