횟값 오른 이유 있었네…지난해 양식어류 30% 급감

횟값 오른 이유 있었네…지난해 양식어류 30% 급감

강동용 기자
강동용 기자
입력 2025-03-21 13:27
수정 2025-03-21 13: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계청 ‘2024년 어류양식 동향 조사 결과’
“고수온·질병에 따른 대규모 폐사 영향”

이미지 확대
지난 4일 서울 노량진수산시장의 모습. 뉴스1
지난 4일 서울 노량진수산시장의 모습. 뉴스1


지난해 고수온과 질병 피해로 양식어류가 대규모 폐사하면서 국내 양식어류 마릿수가 30% 가까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24년 어류양식 동향 조사 결과(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어류양식 마릿수는 대규모 폐사 영향으로 1억 3900만 마리(29.1%) 줄어든 3억 3800만 마리였다. 양식 비중이 높은 조피볼락(우럭)이 48.5%(1억 1720만 마리) 내려앉았다. 광어 등 넙치류도 11.2%(710만 마리) 줄었다. 양식 마릿수가 감소하면서 먹이를 준 양도 2.3%(1만2000t) 감소한 3만 6000t이었다.

어류양식 생산량은 8만 1911t으로 1년 전(7만 9810t)보다 2101t(2.6%) 늘었다. 6~7월 감성돔과 가자미류, 방어류, 농어류 등의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전체 생산량을 끌어올렸다. 생산 금액은 1조 2112억원으로 1년 전(1조 1219억원)보다 893억원(8.0%) 증가했다. 주요 어종인 넙치류와 조피볼락 등의 대규모 폐사로 출하 물량이 줄어들면서 산지 가격이 오른 영향이다.

양식 경영체는 1446개로 전년(1451개)보다 5개(0.3%) 줄었다. 소규모 양식 어가의 경영 악화로 인해 휴·폐업이 증가하는 추세가 이어졌다. 양식 면적도 351만㎡로 1만㎡(0.2%) 줄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