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치안감 유족, 10일 광주시에 고인 자필 메모·유품 기증
“(5·18민주화운동 발생 동기는)과격한 진압으로 인한 유혈사태로 시민을 자극했기 때문이다.”안병하 치안감 자필 메모
나의갑 5·18민주화운동기록관장이 10일 5·18 기록관에서 고 안병하 치안감이 생전에 남긴 메모를 공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그는 1980년 5월 3일 학생 시위가 시작되고, 24일 발포 명령을 거부했다며 체포될 때까지 자신이 본 광주 상황을 자필 메모로 남겼다.
이 메모를 간직해오던 유족들은 이날 광주 5·18 기록관에서 고인의 메모와 유품을 공개하고 광주시에 기증했다.
안 치안감은 5·18 발생 원인을 계엄군의 과격한 진압을 비롯해 악성 유언비어 유포, 김대중 전 대통령 구속에 따른 시민 자극 등으로 봤다.
그는 메모장에 16일까지 시위는 평온했으나 17일 자정 이후 계엄령 확대, 공수부대 투입과 진압 시작, 이에 자극받은 시민들의 무장으로 상황이 악화했다고 적었다.
또 당시 시위에 대응하는 경찰에는 ‘절대 희생자가 발생하지 않도록(경찰 희생자가 있더라도), 일반 시민 피해 없도록, 주동자 외에는 연행치 말 것(교내에서 연행 금지), 경찰봉 사용 유의(반말, 욕설 엄금), 주동자 연행 시 지휘보고(식사 등 유의)’라고 기록했다.
계엄군 진압 후에는 ‘주동자 검거 등 중지, 군에게 인계받는 부상자 치료, 식사제공’ 등 시민들을 최대한 도울 것을 지시하기도 했다.
21일 옛 전남도청에 있던 경찰 병력의 광주 외곽 철수 과정에서는 시민들의 도움으로 무사히 철수할 수 있었다며 고마운 마음도 남겼다.
‘5월 21일 도청에 있던 경찰 병력 철수하는 과정에서 데모 군중이 경찰임을 확인하고 아무 불상사가 없었으며 오히려 사복을 가져다 입히는 등 보호해줘 무사히 철수했다. ’경찰 철수 후 은행 금은방 등 강력사건을 염려했으나 시민군에 의해 강력사건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시민군에 의해 치안 유지됐다‘고 적었다.
그는 당시 참모 중에 지휘 책임을 지고 함께 강제 퇴직당한 간부들이 명예롭게 퇴직할 수 있게 해달라는 당부도 남겼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