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인구는 줄어드는데…분뇨는 왜 늘어났을까

서울 인구는 줄어드는데…분뇨는 왜 늘어났을까

입력 2016-12-21 09:30
업데이트 2016-12-21 09: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축 건물 정화조 크게 짓는 경우 있어…과대 설계 금지 추진”

최근 서울 인구가 1천만명 밑으로 떨어지는 등 수도 서울의 인구 감소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하지만 서울 시내에서 배출되는 분뇨, 즉 ‘똥오줌’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어 궁금증을 자아낸다.

20일 ‘서울통계연보 2016’에 수록된 ‘하수 및 분뇨발생량 및 처리현황’에 따르면 서울 시내 일간 분뇨발생량은 2011년 1만 841㎥, 2012년 1만 882㎥, 2013년 1만 1천112㎥, 2014년 1만 1천223㎥로 꾸준히 증가했다.

2014년의 경우 공원 임시 화장실처럼 직접 퍼가야 하는 ‘수거 분뇨’가 일 41㎥, 나머지 정화조나 오수처리시설에서 나온 오니(汚泥)가 일 1만 1천182㎥였다.

같은 기간 서울 시내 등록 인구는 2011년 1천만 52만여명에서 2012년 1천만 44만여명, 2013년 1천만 38만여명, 2014년 1천만 36만여명으로 계속 줄었다.

서울은 다른 시·도와 달리 축산 농가도 거의 없어 통계에 영향을 끼칠 만한 요인은 ‘사람’뿐이다. 최근 반려동물 ‘열풍’을 타고 개와 고양이가 늘어난 영향일 가능성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희박하다”고 답했다.

시 관계자는 대신 설명 가능한 원인 가운데 하나로 ‘정화조 용량’을 지목했다.

시 관계자는 “건축물을 새로 지을 때 편의를 위해, 아니면 앞으로 어떤 용도로 건물을 사용할지 몰라서 정화조 용량을 실제 필요보다 크게 설치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말했다.

화장실에서 배출된 분뇨는 정화조, 혹은 일반 생활하수와 함께 처리하는 오수처리시설로 간다. 서울 시내 정화조는 지난해 말 기준 약 60만 개, 오수처리시설은 약 3천 개로 대부분의 분뇨는 정화조를 거친다고 볼 수 있다.

정화조에서 분뇨는 바닥에 가라앉고, 더러운 물은 위로 뜬다.

그런데 정화조가 차 수개월에 한 번씩 청소할 때는 오수까지 함께 처리하기 때문에 전부 ‘분뇨’로 통계에 들어간다. 정화조가 커지면 커질수록 이를 가득 채운 오수도 늘어날 수밖에 없어 분뇨가 늘어난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이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정화조를 과대 설계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례를 추진하고 있다”며 “불필요한 분뇨 발생을 막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한편, 2014년 일 분뇨발생량을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강남구가 1천17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초구 739㎥, 영등포구 607㎥, 송파구 605㎥, 강서구 549㎥ 등이 뒤따랐다.

시 관계자는 이를 두고 “강남 등 지역이 인구도 많고 건축물 시설도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