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지진 대비해 노후원전 닫고 신규건설 멈춰야”

환경단체 “지진 대비해 노후원전 닫고 신규건설 멈춰야”

이민영 기자
이민영 기자
입력 2016-09-13 14:17
업데이트 2016-09-13 14: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월성원전 모습
월성원전 모습 한국수력원자력은 12일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8 지진으로 매뉴얼에 따라 월성원전 1∼4호기를 수동 정지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월성원전. 2016.9.12 [연합뉴스 자료사진]
경북 경주에서 역대 최강 규모 5.8 지진이 발생하자 환경단체들이 원자력발전소 안전점검과 종합조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번에 지진이 일어난 경주 인근에는 원자력발전소와 방폐장이 밀집해있다.

핵없는사회를위한공동행동은 13일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입주해 있는 서울 종로구 광화문KT 건물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진에 취약한 노후 핵발전소를 폐쇄하고 더는 신규 건설을 하지 않아야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수명을 연장해 가동 중인 경주 월성 1호기를 폐쇄하고 신고리 5·6호기 신규 건설을 백지화하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진이 일어난 지역이 월성 원전에서 불과 27㎞밖에 떨어지지 않았고 주변에 고리·울진 등 원전 밀집지역이라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국내 대부분 원전이 리히터 규모 6.5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돼 이번 지진보다 더 강한 지진이 온다면 대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도 주장했다.

특히 영남 지역에는 양산단층대, 울산단층대 등 크고 작은 활성단층이 집중돼 전문가들이 최대 규모 7.45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고해왔다는 사실도 언급했다.

이들은 “한국은 지진의 안전지대이고 내진설계가 충분하다며 안일한 대처만을 하고 있어서는 안 된다”며 “후쿠시마 사고도 규모 7.9의 내진 설계를 했지만 예상을 벗어난 규모 9.0의 대지진 때문에 참사를 피할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안전사회시민연대도 이날 보도자료를 내 동해안 일대 모든 원전을 가동 중단하고 정밀 안전점검을 하라고 요구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