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첩사건’ 조선족 자살기도 현장 왜 급히 치워졌나

‘간첩사건’ 조선족 자살기도 현장 왜 급히 치워졌나

입력 2014-03-07 00:00
업데이트 2014-03-07 1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찰 “단순 자살기도 사건으로 신고…절차 따랐다”

’서울시 공무원 간첩사건’ 증거 위조 의혹에 연루돼 검찰 조사를 받던 조선족 김모(61)씨가 자살을 기도한 현장이 사건 발생 5시간여 만에 깨끗하게 치워진 사실을 놓고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서울시 공무원 간첩사건’ 증거 위조 의혹과 관련, 검찰 조사를 받던 조선족 김모(61)씨가 자살을 시도한 장소인 서울 영등포 소재 모텔의 객실.  6일 검찰과 경찰 등에 따르면 김씨는 서울 영등포의 한 호텔 5층 방에서 흉기로 목을 그어 자해했고, 객실 벽면에는 피로 ‘국정원, 국조원’이라는 글씨를 써 놓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후 사고 현장은 깨끗이 치워졌고 일반 투숙객들의 이용도 평소와 다름 없이 이뤄지는 것으로 전해졌다. 통상적으로 경찰이 증거 수집과 조사를 위해 일정 기간 일반인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하는 출입금지 띠 표지도 없었다.  연합뉴스

‘서울시 공무원 간첩사건’ 증거 위조 의혹과 관련, 검찰 조사를 받던 조선족 김모(61)씨가 자살을 시도한 장소인 서울 영등포 소재 모텔의 객실.
6일 검찰과 경찰 등에 따르면 김씨는 서울 영등포의 한 호텔 5층 방에서 흉기로 목을 그어 자해했고, 객실 벽면에는 피로 ‘국정원, 국조원’이라는 글씨를 써 놓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후 사고 현장은 깨끗이 치워졌고 일반 투숙객들의 이용도 평소와 다름 없이 이뤄지는 것으로 전해졌다. 통상적으로 경찰이 증거 수집과 조사를 위해 일정 기간 일반인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하는 출입금지 띠 표지도 없었다.
연합뉴스
사건의 중요 참고인이 피로 쓴 ‘국정원, 국조원’이라는 글자를 남기고 자살을 기도한 상황에서 수사기관이 조사가 완벽히 끝날 때까지 현장을 보존하지 않고 치우도록 그냥 놔둔 점은 의문을 갖기에 충분해 보인다.

사건 발생 다음날인 6일 정오께 취재진이 사건 현장인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동의 한 호텔 508호 객실을 찾았을 때 현장은 자살 기도가 발생한 곳이라고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깔끔하게 치워져 있었고 한창 청소가 진행 중이었다.

일반 투숙객들의 이용도 평소와 다름 없이 이뤄졌고 통상적으로 경찰이 증거 수집과 조사를 위해 일정 기간 일반인 출입을 통제하려고 설치하는 접근금지 띠도 없었다.

간첩 혐의로 기소돼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피고인 유우성(34)씨 변호를 맡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측은 사건 현장 보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며 은폐 의혹을 제기했다.

민변 관계자는 “강력 사건에서 현장 보존은 기본”이라며 “자살 시도인지 아닌지 명백히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고 현장에서 피로 글씨를 쓴 흔적이 발견됐다면 조사가 필요한데 현장을 보존하지 않고 정리한 것은 수사의 기초에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경찰은 7일 “서울시 간첩사건과 관련해 검찰 조사를 받던 인물이라는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호텔 주인의 자살 의심 신고를 받고 출동한 건이어서, 통상적인 단순 자살 기도 사건과 마찬가지로 절차에 따라 처리했다”며 고의 훼손 의혹을 일축했다.

경찰 관계자 등의 말을 종합하면 호텔 주인은 지난 5일 오후 6시 11분께 김씨가 퇴실 시간이 지나도록 나오지 않자 이상하다는 생각에 바로 112에 자살 의심 신고를 했다.

신고를 받은 서울 영등포경찰서 역전파출소 직원들은 호텔 주인과 함께 객실 문을 열고 들어가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는 김씨를 발견, 오후 6시 19분께 119를 불러 김씨를 병원으로 옮겼다.

파출소 직원들은 단순 자살기도 사건으로 생각해 현장에 있던 유서 등 증거물만 수거해 돌아갔다.

경찰은 유서와 자해할 때 쓴 흉기가 발견된 점 등으로 미뤄 타살 혐의점이 없는 일반적인 자살 기도 사건으로 파악했고 통상적인 절차에 따라 증거물만 수거하고 접근금지 띠는 설치하지 않았다.

경찰은 이후 가져온 소지품 중 신분증을 발견, 인상착의를 맞춰보다가 오후 7시 40분께 김씨가 검찰이 찾던 인물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검찰에 통보했다.

애초 김씨는 5일 낮 12시 51분께 자살을 암시하는 휴대전화 문자를 서울중앙지검 진상조사팀 검사에게 보냈고 검찰은 바로 112에 신고했다.

경찰은 휴대전화 위치추적으로 김씨의 소재 파악에 나섰으나 정확한 위치가 나오지 않아 김씨를 찾지 못하던 상황이었다.

경찰은 오후 9시 40분께 호텔을 다시 찾아 벽면에 피로 쓴 ‘국정원’ 글씨 등을 사진 촬영하는 등 채증 작업을 한 뒤 오후 10시 15분 철수했다. 이때는 현장이 그대로 보존된 상태였다고 경찰은 전했다.

검찰은 경찰이 다시 호텔을 찾기 전인 오후 7시 10분께 사건 현장에 갔고, 오후 9시께 처음 현장에 출동한 파출소에 들러 증거물을 달라고 요청했지만 경찰로부터 거절당했다.

경찰은 오후 10시 10분께 파출소를 찾은 김씨의 아들에게 유서 등 증거물을 전달했고 당시 파출소에 함께 있던 검사가 유서를 가족으로부터 임의제출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호텔 주인은 경찰이 오후 10시 15분 사건 현장 작업을 마치자 “객실을 치워도 되느냐”고 물었고, 경찰이 “조사가 다 끝났다”고 하자 청소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호텔 관계자는 “경찰이 조사를 끝내고 나간 뒤 조금 있다가 우리(직원들)가 직접 (피로 쓴) 글씨도 지우고 객실 청소도 했다”고 말했다.

경찰은 현장 채증 작업을 마치고 나올 때까지도 김씨가 서울시 간첩사건과 관련해 검찰 조사를 받던 인물이라는 사실을 검찰로부터 전해듣지 못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 관계자는 “애초 검찰이 112에 신고할 때 단순히 자살이 의심되니 찾아달라고만 했지 조사를 받던 사람이라거나 간첩사건에 관련된 사람이라는 말은 전혀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런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호텔 객실 화장실에 오물이 지저분하게 널려 있고 피로 막 쓴 것 같은 글씨가 새겨져 있어, 정신이상자의 단순 자살 기도 사건으로 파악해 이에 맞는 절차에 따랐다”고 말했다.

애초 경찰은 사건 현장에서 채증 등 작업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가 현장 훼손 의혹이 일자 채증 작업을 한 사실이 있다며 말을 번복하기도 했다.

국정원이 연루된 사건이어서 심적 부담을 느꼈다가 경찰 책임을 지적하는 언론 보도가 잇따르자 태도를 바꾼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