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렌징 제도, 기사 과로 원인으로 지목
대화기구 출범, 수수료 부담 완화 논의


쿠팡-소상공인·민생단체 상생을 위해
박대준 쿠팡 대표, 쿠팡 노동자 고 장덕준의 어머니 박미숙 씨, 고 김명규의 아내 우다경 씨,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민병덕 을지로위원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쿠팡-소상공인·민생단체 상생협약 체결 및 배달앱 사회적대화기구 출범식에서 상생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쿠팡이 택배 기사의 과로 원인으로 지목된 ‘클렌징 제도’(배송 구역 회수) 폐지에 나선다. 쿠팡이츠와 자영업자 단체, 배달라이더 단체,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배달앱 사회적 대화기구’도 꾸려진다.
더불어민주당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을지로위)는 19일 국회에서 ‘쿠팡-소상공인·민생단체 상생협약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협약에는 근무 일수나 포장박스 수거 등 일정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택배 기사의 배달 구역을 회수하는 클렌징 제도 폐지와 함께 소상공인을 포함한 입점 업체들이 정산 주기로 인한 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빠른정산서비스’의 대상을 대폭 확대하는 내용이 담겼다.
쿠팡, 쿠팡이츠,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 쿠팡풀필먼트서비스 등 쿠팡 계열사와 함께 과로사대책위원회와 전국가맹점주협의회 등이 협약에 참여했다. 민주당은 이번 협약의 성사 배경에는 6개월에 걸친 을지로위의 중재 노력이 었었다고 설명했다.
이날 출범한 배달앱 사회적 대화기구에선 배달앱 수수료 부담 완화와 배달 라이더 안전운임제 도입, 악천후 시 단계적 배달 제한 방안 등을 논의한다.
을지로위원장인 민병덕 의원은 “자영업자, 소상공인, 노동자 등 ‘을’들의 호소에 막중한 책임을 느낀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