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공개활동 횟수가 집권 후 가장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월 북미회담 결렬 후 협상 진전이 없는데다 전세계적으로 유행한 코로나19의 여파로 대외 활동을 축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미지 확대
지난 19일 당 전원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 19일 당 전원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20일 통일부 북한정보포털의 ‘김정은 공개활동 동향’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올해 1월 1일부터 지난 19일까지 공개된 활동이 53회로 집계됐다. 집권 직후인 2012년에는 151회, 2013년 212회, 2014년 172회, 2015년 153회 등 연간 150회 이상 활발한 공개활동을 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김 위원장은 2016년 이후 활동을 차츰 줄여나가다가 지난해에도 85회에 그쳤다.
특히 경제 분야의 역점 관광 사업지인 ‘삼지연시’와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도 올해는 한 차례도 방문하지 않았다. 삼지연시의 경우 지난해 3번 이상 방문했으며, 2018년에는 관련 공개행보만 8차례 진행했던 곳이다. 원산갈마 관광지구 역시 2018년 3회, 2019년 1회씩 현지지도한 바 있다.
올해 경제분야와 관련한 현지 방문은 평양종합병원(2회), 순천린비료공장(2회), 건설 중인 광천닭공장(1회) 등에 그쳤으며, 지난 여름 수해와 대풍 피해가 컸던 만큼 민생을 챙기는 데 주력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8월 황해북도 은파군 일대 등 홍수 피해 현장을 직접 찾아 8차례 피해·복구 지도를 하기도 했다.
반면 당 차원의 주요 회의는 올해 들어 19차례 주재하는 등 집권 후 가장 많은 횟수를 기록했다. 이는 내년 1월 예정된 제8차 노동당 대회를 앞두고 정책 방향을 직접 챙기고 체제와 주민 결속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지난 달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김하늘(8)양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한 데 이어 정신질환을 가진 교사가 3세 아들을 살해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건이 알려지면서 학부모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개학을 앞두고 불안한 학부모들은 아이의 휴대전화에 도청앱까지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교사들은 이 도청앱의 오남용으로 인한 교권침해 등을 우려하고 있다. 학생들의 휴대폰에 도청앱을 설치하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