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래은(왼쪽 두번째) 영원무역 부회장이 28일 서울 중구 영원무역 명동빌딩에서 ‘갓생한끼’에 참석해 청년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성래은(왼쪽 두번째) 영원무역 부회장이 28일 서울 중구 영원무역 명동빌딩에서 ‘갓생한끼’에 참석해 청년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성래은(46) 영원무역그룹 부회장이 28일 청년들과 만나 “어떤 일이든 불가능하다는 생각을 갖고 시작하는 일은 달성하기 힘들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낸다는 마음가짐이 일의 출발점”이라고 자신의 경영철학을 소개했다.
성 부회장은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의 ‘갓생한끼’ 3탄에 참여해 서울 중구 영원무역 명동빌딩에서 12명의 청년들과 점심을 먹으며 2시간가량 대화를 나눴다. 이번 행사에는 스타트업 대표, 직장인, 대학·대학원생, 프리랜서, 군인 등 23~33세의 다양한 배경을 가진 청년들이 참가했다.
성 부회장은 영원무역 창업주인 성기학 회장의 차녀로, 2002년 입사해 2016년 영원무역홀딩스 대표를 거쳐 2022년 부회장으로 선입됐다. 지난 2월부터는 한국패션산업협회장을 맡고 있다.
매일 오전 4시에 일어나 하루를 시작한다는 성 부회장은 “매일 1%씩만 좋아져도 1년 뒤 37.8배가 좋아지는 ‘복리의 힘’을 믿는다”면서 “거창한 목표를 두기보다 매사에 열심히 임하는 하루하루가 경영활동의 원천”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의류업계는 날씨 의존도가 높아서 날씨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국내 정세뿐 아니라 환경과 노동, 거시 경제 등에도 관심을 갖고 실시간 뉴스를 확인한다고 했다. 그는 자신의 일과에 대해 매일 아침 출근 전까지 3~4시간에 걸쳐 메일과 뉴스를 확인하고, 출근 후 집중력이 필요한 일들을 아침에 먼저 처리한다고 소개했다.
성 부회장은 기업가정신에 대해 묻는 질문에 “이윤을 만들어서 주주한테 환원하고 직원 월급을 주며, 사회에 좋은 영향을 주는 기업이 좋은 기업”이며, “나쁜 기업은 돈을 못 버는 기업”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기업은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윤을 만드는 것”이라며 “어떻게 하면 계속 이윤을 낼 수 있을까, 시장에서 선택 받을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성래은(앞줄 왼쪽에서 네번째) 영원무역 부회장이 28일 서울 중구 영원무역 명동빌딩에서 열린 ‘갓생한끼’에 참석해 청년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성 부회장의 오른쪽은 진행을 맡은 미국 출신의 방송인 마크 테토.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성래은(앞줄 왼쪽에서 네번째) 영원무역 부회장이 28일 서울 중구 영원무역 명동빌딩에서 열린 ‘갓생한끼’에 참석해 청년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성 부회장의 오른쪽은 진행을 맡은 미국 출신의 방송인 마크 테토.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한경협의 ‘갓생한끼’는 한국판 ‘버핏과의 점심’을 표방해 만들어진 경제계 청년소통 프로젝트로, 생산적이고 바른 생활을 뜻하는 유행어 ‘갓생’(God·生)과 ‘한끼’를 더해 이름 붙여졌다. 현재까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박재욱 쏘카 대표, 노홍철 ㈜노홍철천재 대표,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등이 참여했다.
신융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지난 달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김하늘(8)양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한 데 이어 정신질환을 가진 교사가 3세 아들을 살해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건이 알려지면서 학부모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개학을 앞두고 불안한 학부모들은 아이의 휴대전화에 도청앱까지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교사들은 이 도청앱의 오남용으로 인한 교권침해 등을 우려하고 있다. 학생들의 휴대폰에 도청앱을 설치하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