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 인재 양성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 공익법인 한국고등교육재단이 창립 50주년을 맞았다. 한국고등교육재단은 오는 26일 창립 50주년을 맞아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미래 인재 콘퍼런스’를 연다고 24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한국고등교육재단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한국고등교육재단
한국고등교육재단은 1974년 고 최종현 SK그룹 선대회장이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사재를 출연해 설립한 비영리 공익법인이다. ‘우수한 인재 양성’ 과제에 충실하겠다는 뜻을 담아 재단 명칭에 기업명이나 설립자 아호를 넣지 않았다.
재단에 따르면, 설립 후 1000명에 이르는 세계 유수 대학의 박사와 5000여명의 인재를 양성했다. 재단 장학생 출신으로는 한국인 최초 하버드대 종신 교수인 박홍근 교수, 하택집 하버드대 교수, 천명우 예일대 교수, 이대열 존스홉킨스대 교수, 한국 여성 최초로 스탠퍼드대 종신교수가 된 이진형 박사 등 있다.
이번 콘퍼런스에서는 융합적 사고와 협업 능력을 갖춘 미래 인재상에 대해 논의하며, 재단이 지향할 인재 양성의 방향성을 공유하고 앞으로 50년의 새 비전과 미션을 구체화한다. ‘인재의 숲에서 인류의 길을 찾다’ 주제로 열리는 ‘인재 토크’ 세션에서는 인문계 및 이공계 학생 200여명과 함께 미래에 요구되는 인재의 핵심 역량을 논의하고, 인공지능(AI) 시대 대학의 역할 등 교육 현장에서의 과제도 짚어본다.
콘퍼런스 이후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재단 장학생들이 모여 AI로 복원된 최 선대회장을 영상으로 만나는 내부 행사도 예정돼 있다.
신융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