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새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다른 오목눈이들이 도시 숲 나무 위에 나란히 앉아있는 모습. 참새는 참새목 참새과의 새이고 오목눈이는 참새목 오목눈이과의 새이다.
자연과생태 제공
자연과생태 제공
‘조(鳥)선생’(자연경심)이라는 독특한 제목의 책은 참새, 까치, 까마귀 같은 텃새를 포함해 제비, 뻐꾸기, 독수리 같은 철새, 외국에서 건너온 공작, 칠면조, 타조까지 21종의 새 이야기로 구성돼 있다. 조선생은 새만을 이야기하고 있지 않다. 새를 통해 자연의 소중함과 생명의 존귀함을 동서양 문화와 역사를 함께 풀어내고 있어 과학책이라기보다는 새와 관련한 인문 철학서에 가깝다. 참새는 한자로 중국 전통 보드게임 이름과 같은 ‘마작’이다. 놀이 테이블에서 패를 뒤섞는 소리가 겨울철 참새떼가 삼(마·麻)밭에서 재잘거리는 소리처럼 들렸기 때문이라고 한다.
공원이나 도시 숲을 가면 참새와 비슷해 보이는 새들을 간혹 만날 수 있다. 바로 오목눈이이다. 오목눈이는 참새목에는 속하지만 참새와는 과가 다르다. 오목눈이는 오목눈이과, 참새는 참새과에 속한다. 참새처럼 텃새이기는 하지만 대개 나무 위에서만 지내고 땅으로는 내려오지 않아 숲이나 공원의 나무 위를 쳐다보지 않으면 만날 수 없다.
저자들은 단순히 새들의 생태를 보여주고 자연보호를 위해 뻔한 이야기를 하고 있지 않다. 새들의 삶도 사람과 크게 다르지 않고 다른 종들이 살기 어려운 세상은 사람이 살기도 어려운 곳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경고를 담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