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튤립과 아네모네가 사는 숲/식물세밀화가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튤립과 아네모네가 사는 숲/식물세밀화가

입력 2023-03-22 00:38
업데이트 2023-03-22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며칠 전 도로변 화단에서 식물을 심는 자원봉사자들을 보았다. 한 분은 플라스틱 화분에 들어 있는 팬지 모종을 빼내 화단에 심고, 다른 한 분은 심긴 모종의 흔적을 따라 물을 주었다. 날이 따뜻해지기 시작하는 초봄 흔히 볼 수 있는 도시 풍경이다. 화단에 닿는 손길이 분주해질수록 우리에게 봄은 한 걸음 더 가까워진다. 아름다운 화단은 그냥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나는 매년 이맘때 화단에 막 심긴 모종을 바라보며 이 작은 새싹이 지나온 길을 상상한다. 이들은 전국 각지 외곽의 화훼 농장에서 재배돼 도시로 모인다. 농장의 모종과 씨앗 중에는 우리나라 원산인 것도 있지만 대부분 유럽과 아프리카 그리고 일본 등지에서 증식돼 수입된 것이다. 우리가 도시에서 만나는 식물은 예상보다도 더욱 먼 시간과 거리를 지나왔다.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튤립속 식물인 산자고. 무릇과 닮았고 키가 작아 까치무릇이라고도 부른다. 꽃이 활짝 핀 모습을 보면 튤립인가 싶다가도 봉오리를 보면 튤립속이란 걸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튤립속 식물인 산자고. 무릇과 닮았고 키가 작아 까치무릇이라고도 부른다. 꽃이 활짝 핀 모습을 보면 튤립인가 싶다가도 봉오리를 보면 튤립속이란 걸 알 수 있다.
특히 튤립은 대부분 네덜란드와 일본에서 왔다. 흔히 튤립의 주 재배지는 네덜란드, 고향은 튀르키예로 알려져 있지만 50~60종의 튤립 원종 중 튀르키예 원산은 단 16종으로, 나머지는 지중해 연안에서 중앙아시아에 분포한다.

우리 산에도 튤립 원종이 살고 있다. ‘산자고’라 부르는 꽃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유일한 튤립속 식물이다. 산자고의 학명은 툴리파 에둘리스, 우리나라에서는 튤립속을 산자고속이라고도 부른다. 내가 처음 산자고를 만난 건 15년여 전 충청북도의 한 야산에서였다. 꽃이 크지도 않은 데다 꽃잎이 활짝 벌어지며 피는 모습에 처음엔 튤립이 전혀 연상되지 않았으나, 덜 핀 봉오리 상태의 꽃을 보고 이것은 분명 튤립속이라는 확신이 왔다. 모든 부위가 독특하게 아름답지만 특히 꽃잎 바깥에 난 자주색 무늬가 산자고의 매력 포인트다.

우리 숲에는 꽃집에서 흔히 보는 라눙쿨루스 가족도 있다. 매화마름, 개구리갓, 개구리자리, 젓가락나물 등은 라눙쿨루스와 한 가족이다. 이들은 모두 햇빛 아래에서 꽃잎이 반짝이며 광채가 난다. 이 광채는 매개동물의 눈에 띄어 수분을 하려는 생존 전략이다. 요즘 꽃 시장에선 라눙쿨루스 종류 중 꽃잎이 빛나는 버터플라이 계통이 인기가 많은데, 이들 꽃잎이 빛나는 것도 같은 이유다. 식물의 족보를 알면 꽃집과 화단의 식물이 숲의 식물과 별개가 아니라는 사실도 이해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팬지와 제비꽃은 모두 제비꽃속으로 한 가족이다. 그림은 팬지의 원종인 삼색제비꽃.
팬지와 제비꽃은 모두 제비꽃속으로 한 가족이다. 그림은 팬지의 원종인 삼색제비꽃.
그렇게 나는 자연스레 꽃집의 식물과 숲의 식물을 연관 짓게 됐다. 오월의 장미 축제를 보면서 돌가시나무와 찔레꽃을 떠올리고, 겨울 화단의 팬지를 보며 봄에 피어날 제비꽃을 떠올린다. 도시의 식물은 하나같이 숲의 식물보다 꽃과 형태가 더 화려하며 더 오랜 시간 꽃을 피운다. 그러나 산자고와 매화마름을 보면서 진정한 아름다움이란 화려함처럼 단편적인 충족이 아니라 존재의 희소성, 결과물을 얻기까지의 시간과 수고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감각임을 깨닫는다.

지난주 방문한 종로 꽃 시장 진열대마다 아네모네 화분이 보였다. 자연스레 우리 숲의 아네모네를 떠올렸다. 우리나라에는 이십여 종의 바람꽃이 분포한다. 이들 중 꿩의바람꽃과 홀아비바람꽃, 회리바람꽃, 들바람꽃 등이 속한 바람꽃속의 또 다른 이름은 아네모네다. 그러나 매일 아네모네를 다루는 화훼 종사자조차 숲에서 바람꽃속 식물들을 보면 그냥 지나치기 일쑤다.

얼마 전 대화 중 상대가 말하길 평소 카페에서 자주 먹던 히비스커스차의 주인공, 히비스커스가 우리나라의 국화인 무궁화와 가족인 걸 알고 깜짝 놀랐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무궁화는 우리에게 너무 익숙해서인지 예뻐 보이지도 않고 차로 마실 엄두도 안 나는데 히비스커스는 왠지 예쁘고 신비감 있어 보인다고. 나는 우리 모두의 마음속에 이런 심리가 잠재해 있다고 생각한다.

나의 부모님은 산을 넘어 등교하고, 산을 타며 놀던 세대다. 튤립 이전에 산자고를 먼저 만났다. 식물에 특별히 관심이 없어도 어린 시절부터 친숙하게 지내 온 야생식물에 대한 기본 소양이 있다.

나는 도시에서 태어났다. 어딘가로 가기 위해 산을 넘을 필요도, 야생식물을 볼 일도 특별히 없었다. 도시에서 자란 내 또래 친구들은 편리하고 쾌적한 환경에 익숙하다. 식물을 보러 산을 오르기보다 도시 안의 정돈된 정원을 찾는 데에 익숙하다.

이 시대의 어린이들이 만나는 식물은 더욱 한정적이다. 아파트 단지 안에 있는 화단 식물, 식물원이라는 이름의 열대온실에 들어 있는 외래 식물…. 세대가 바뀌며 우리는 점점 더 산자고와 바람꽃, 매화마름에서 멀어지고 인간의 손을 거친 튤립 품종과 아네모네, 라눙쿨루스 품종에 친숙해질 것이다. 계층 간의 두터운 경계처럼 숲과 도시의 경계 역시 높아만 간다.
2023-03-22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