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전체메뉴 열기/닫기검색
서울신문 ci

물가 3개월 만에 ‘뜀박질’… 숨 고르던 인플레이션 헉헉대나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2-02 18:28 경제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공공요금이 들쑤신 물가 앞날은

채소류·가공식품도 상승에 영향
근원물가도 14년 만에 최고 상승
국제 에너지·원자재값마저 ‘들썩’
소비심리 위축으로 경기 악영향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이 새해 첫 달 소비자물가를 석 달 만에 상승세로 반전시키는 핵심 요인이 됐다. 공공요금 인상으로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 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역시 5.0% 올라 2009년 2월(5.2%) 이후 14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에 경기 하강 흐름 속에서 한풀 꺾이던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커졌다. 중국의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 여파로 국제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 흐름이 재현될 가능성과 함께 당분간 5%대 고물가 상황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마저 제기됐다. 물가 재상승 우려는 향후 소비심리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앞서 정부는 전기요금을 지난해 4월, 7월, 10월 세 차례에 걸쳐 총 ◇(킬로와트시)당 19.3원, 올해 1분기에 추가로 13.1원 인상했다. 주택용 기준 가스 도매요금도 4월, 5월, 7월, 10월에 걸쳐 총 1MJ(메가줄)당 5.47원 올렸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23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서 지난달 전기·가스·수도 요금은 지난해보다 28.3%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물가상승률에 대한 전기·가스·수도의 기여도도 지난해 7월 0.49% 포인트, 10월 0.77% 포인트, 지난달 0.94% 포인트로 점점 커지고 있다.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는 5.2% 올라 지난해 12월 5.0%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공공요금뿐만 아니라 채소류 등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도 지난달 물가 상승폭 확대에 기여했다. 강설·한파 등으로 인해 농축수산물은 1.1% 올라 12월 0.3%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가공식품도 10.3% 올라 12월 상승률과 같았으며, 2009년 4월 11.1% 이후 최고치를 유지했다. 지난해 말부터 식품업계가 제품 가격을 인상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도 식품·외식 가격 인상과 설 성수기 수요 증대로 6.1% 올랐다. 12월 5.7%보다 상승세가 확대됐다.

한국은행은 이날 물가상황점검회의를 열고 소비자물가가 이달에도 5% 내외의 상승률을 나타낼 것으로 내다봤다. 이환석 한은 부총재보는 “향후 물가 경로상에는 중국 리오프닝에 따른 국제 유가 등 원자재 가격 추이, 국내외 경기 흐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세종 박기석 기자
2023-02-03 4면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