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원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과 교수
괴테의 ‘식물변형론’은 18개 장에 123개 짧은 글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도 그리 어렵지 않고 중간중간 괴테가 직접 스케치한 삽화도 있어 도움이 된다. 책 전체를 통해 괴테는 관찰이 곧 과학이라고 주장한다.
책은 “식물 성장에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면 식물은 바로 옆 인접해 있는 부분의 모습을 닮아가듯 변형하면서 성장한다”는 문장으로 시작한다. 처음 이 문장을 읽었을 때 그렇게까지 마음에 와닿지는 않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꽃과 나무 그리고 무엇보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사회를 경험하면서 자꾸 떠올랐다. 그는 식물을 통해 생명과 사회라는 세상을 얘기하고 있었다. 바로 옆 존재에 관심을 갖고 닮으려고 노력하고 또 닮아야 살 수 있다는 진리 말이다.
평범한 듯 심오한 생태법칙을 식물의 성장과 변형을 통해 설명하는 식물 관찰일지 같다. 책을 읽고 나면 길가의 잡초 하나, 꽃 하나도 그냥 지나치기 힘들도록 독자를 관찰에 능한 과학자가 되도록 도와준다. 이름으로만 알고 있었던 꽃은 어느덧 우주공간에 함께하는 존재가 된다.
괴테는 식물 속 점을 찾는 버릇을 갖게 한다. 줄기를 보아도 갈래가 나누어지기 전에는 색이 진한 점이 반드시 있다. 에너지와 생명력을 집중해 진한 색을 가진 점을 이룬 후 그곳에서 두 갈래 줄기가 뻗어나고 잎도 돋아난다. 줄기 끝에서 다시 힘을 모아 점을 찍은 후 이번에는 꽃이 맺힌다. 예술가 바실리 칸딘스키가 괴테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괴테의 ‘식물변형론’을 읽고 ‘점, 선, 면’이란 책을 썼을 것이란 상상을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 괴테는 생명과 사회에 이어 추상예술에까지 그의 식물이론을 통해 영향을 끼친 것이다.
괴테 식물학개론은 우주 생성까지 이어 간다. 점은 정체된 듯 죽은 모습을 띠지만 새 생명으로 탄생하려면 점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모든 에너지를 집약하고 수축시켜 하나의 점을 만들면 씨가 된다. 점에서 출발해 다시 점으로 돌아온 셈이다. 식물은 닮아가는 방향으로 성장하고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 죽음으로 사라지듯 점을 만들어 생명을 탄생시킨다. 우주 팽창과 수축 그리고 빅뱅을 이해할 수 있다. 닮음의 성장, 생명 탄생의 점으로 설명한 자연법칙이다. 바로 옆 동료에게 관심을 가져 닮으려 노력하고 함께 성장한 후에는 다시 결집해 점으로 목숨을 다해야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는 사회법칙이기도 하다. 혼돈의 세계와 사회를 견딜 수 있게 도와주는 괴테의 식물 생태 과학코드이다.
2022-12-16 2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