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로 이루고 싶은 큰 바람이 하나 있다. 세상 모든 것이 거미줄처럼 연결된 그물망과 그물망 사이 빈 공간 그물코도 떨림으로 연결돼 있는 생태를 뚜렷하게 보여 주는 꿈이다.
예쁜 장미꽃에 꿀벌이 없어 허전할 때 AR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카메라를 갖다 대면 꿀벌이 어느새 장미꽃 옆에서 날갯짓을 하고 있다. 발자국만 남아 있는 바위에서는 공룡이 나타나 발자국 주인이 렙터였음을 알려 준다. 현실의 눈을 가리고 신비로운 환상세계로 초대하는 VR과는 달리 현실에 굳건하게 서서 마음으로만 볼 수 있었던 상상 속 진실을 실제로 감각할 수 있게 AR은 도와준다.
사실 AR은 메타버스 이전부터 우리 곁에 있었다. 세상을 다 가진 듯 행동하게 만드는 국회의원 금배지, 자신감과 행복까지 줄 것 같은 명품백도 모두 AR이다. 이런 AR은 몸에서 사라지면 원래대로 돌아가 환상이 깨어지지만 다른 종류도 있다. AR이 사라져도 증강된 현실에서 얻은 참된 깨달음은 지식과 경험으로 영원히 남는다. 목이 터져라 응원하는 서포터스가 힘들게 뛰는 선수에게는 AR이었음이 팬데믹으로 텅 빈 경기장을 경험하고 알게 됐다. 고난 속에서 움켜쥔 십자가, 치열하게 구도하는 화두 모두 AR이다. 선생님도 AR 역할을 하는데 학생에게 단순하게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 너머 삶의 지혜를 제대로 볼 수 있게 도와주기 때문이다.
따지고 보면 돈도 AR의 좋은 예이다. 특정 물건을 사고 싶다는 마음, 어려운 사람들을 돕고 싶은 마음은 돈을 통해 드러난다. 가치로운 사물, 세상의 질서, 심지어 가치 기준까지 우리에게 보여 주는 돈은 분명 AR 장치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모든 것이 연결돼 있는 세상의 그물망과 그물코 생태를 보여 주는 것도 허황된 꿈만은 아닌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