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예술’ 영역 넘보는 인공지능…시 쓰고 그림 그리는 초거대AI

‘예술’ 영역 넘보는 인공지능…시 쓰고 그림 그리는 초거대AI

나상현 기자
입력 2022-08-01 21:16
업데이트 2022-08-01 2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를 쓰는 AI 모델 ‘시아’가 오는 8일 출간하는 첫 시집. 카카오브레인 제공
시를 쓰는 AI 모델 ‘시아’가 오는 8일 출간하는 첫 시집. 카카오브레인 제공
시를 쓰는 이유를 묻지 말아주십시오 . 그냥 쓰는 것입니다 .
쓸 수밖에 없기에 씁니다 .
무엇을 쓰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
시를 쓴다는 것은 세상에서 가장 짧은 말을 하는 것입니다 .
말을 줄이는 것입니다 .
줄일 수 있는 말이 아직도 많이 있을 때 그때 씁니다 .‘시를 쓰는 이유’
자신이 시를 쓰는 이유를 ‘세상에서 가장 짧은 말을 하는 것’이라고 간결하게 풀어낸 이 시구는 사실 사람이 쓴 것이 아니다. 1만편이 넘는 시를 섭렵하고 작법을 익힌 초거대 인공지능(AI)이 직접 ‘창작’해 낸 시다. 과거에 인간의 고유한 영역으로 여겨졌던 ‘예술’까지 AI가 보폭을 넓혀 오고 있다.

카카오의 AI 개발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은 미디어아트 그룹 슬릿스코프와 함께 시 쓰는 AI 모델 ‘시아’를 개발하고 시아가 쓴 첫 시집 ‘시를 쓰는 이유’를 오는 8일 출간한다고 1일 밝혔다. 시아는 카카오브레인의 초거대 AI 언어 모델 ‘KoGPT’를 기반으로 시를 쓰는 AI 모델로, 1만 3000여편의 시를 학습하며 데이터를 쌓았다. 주제어와 명령어를 입력하면 시아가 입력된 정보의 맥락을 이해하고 시를 짓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시아는 53편의 시로 엮인 시집을 완성해 냈다. 디지털 연산을 위한 기계어 ‘0’과 ‘1’을 활용해 1부 주제는 공(0), 2부 주제는 일(1)로 선정됐다. 무의미·비존재의 의미를 가진 공(0)은 그간 작업 노트에서 나온 임의의 표현들을 시상으로 제시해 생성된 시를, 의미·존재의 의미를 가진 일(1)은 수학과 과학에 관한 주제를 시상으로 한 시가 수록됐다.
기자가 카카오브레인의 AI 화가 ‘칼로’에게 “우주에서 날고 있는 고래를 그려 줘”, “정원을 산책하는 여인을 그려 줘”라고 주문하자 각각 수 초 만에 내놓은 그림. 카카오브레인과 컬래버한 삼성전자 갤럭시북 아트 프로젝트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칼로에게 그림을 주문해 볼 수 있다.  카카오브레인·삼성전자 제공
기자가 카카오브레인의 AI 화가 ‘칼로’에게 “우주에서 날고 있는 고래를 그려 줘”, “정원을 산책하는 여인을 그려 줘”라고 주문하자 각각 수 초 만에 내놓은 그림. 카카오브레인과 컬래버한 삼성전자 갤럭시북 아트 프로젝트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칼로에게 그림을 주문해 볼 수 있다.
 카카오브레인·삼성전자 제공
예술 분야에서의 AI의 활약은 이미 그림, 이미지의 영역에서도 부각되고 있다. 카카오브레인이 앞서 공개한 AI 아티스트 ‘칼로’는 특정 키워드와 화풍을 입력하면 맥락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이미지를 생성해 준다. 기자가 이날 카카오브레인과 컬래버한 삼성전자의 ‘갤럭시북 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칼로에게 “우주에서 날고 있는 고래를 그려 줘”라고 입력하자 수 초 만에 환상적인 느낌의 고래 그림을 눈앞에 펼쳐 보였다. AI가 세상 어디에도 없는 단 하나의 작품을 순식간에 만들어 낸 것이다. LG전자의 초거대 AI ‘엑사원’, 미국 스타트업 오픈AI의 ‘달리2’(DALL-E2) 등도 주제를 던지면 맥락을 이해해 실제 사람이 그린 듯한 이미지를 내놓는다.
네이버웹툰 AI 페인터. 홈페이지 캡처
네이버웹툰 AI 페인터. 홈페이지 캡처
단지 예술 영역을 침범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의 공생(共生) 관계를 이뤄 내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네이버웹툰이 개발한 자동채색 툴 ‘웹툰 AI 페인터’는 스케치 그림에서 원하는 색을 선택하면 AI가 자동으로 어울리는 색상을 찾아 주변 부위까지 색칠해 준다.

이 같은 흐름은 AI가 단순히 인간의 명령에 따라 정해진 결과값을 내놓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이해’해 결과를 내놓다는 점에서 과거와 큰 차이점을 보인다. 다만 기술적 발전에서 뒤따라올 수 있는 윤리 문제도 보완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예컨대 ‘폭탄을 든 테러리스트’를 입력하면 편향된 데이터를 학습한 AI 아티스트가 특정 인종을 그려 내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변순용(한국인공지능윤리학회장) 서울교대 교수는 “AI에게 인터넷에 있는 데이터를 그대로 학습시키면 편향성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면서 “AI가 학습하는 데이터에 등급제를 도입해 대상, 용도에 따라 학습 데이터를 달리하는 기준을 세우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라고 밝혔다.



나상현 기자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