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태리 같은 ‘리슬링’… 뭘 먹어도 찰떡궁합[심현희 기자의 술 이야기]

김태리 같은 ‘리슬링’… 뭘 먹어도 찰떡궁합[심현희 기자의 술 이야기]

심현희 기자
입력 2022-05-19 17:46
업데이트 2022-05-20 02: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시 세끼 페어링의 마술사

이미지 확대
주말의 브런치엔 달콤한 스타일의 리슬링이 잘 어울린다. 화이트 와인 가운데 ‘소비뇽블랑’을 주로 생산했던 뉴질랜드는 최근 남섬을 중심으로 수준급의 리슬링을 만들어 낸다. 사진은 뉴질랜드의 마운트리지 리슬링(오른쪽)과 와인바 라꾸쁘의 팬케이크. 라꾸쁘 제공
주말의 브런치엔 달콤한 스타일의 리슬링이 잘 어울린다. 화이트 와인 가운데 ‘소비뇽블랑’을 주로 생산했던 뉴질랜드는 최근 남섬을 중심으로 수준급의 리슬링을 만들어 낸다. 사진은 뉴질랜드의 마운트리지 리슬링(오른쪽)과 와인바 라꾸쁘의 팬케이크.
라꾸쁘 제공
따사로웠던 오후의 햇빛이 점점 뜨거워지고 술꾼들의 시곗바늘은 화이트 와인에 가까워져 가고 있습니다. 낮이 길고 밤이 짧은 날들에 찾아오는 주말의 여유는 한가롭게 마시는 낮술에 있습니다. 부지런을 떨면 아침부터 저녁까지 환한 시간에 반주를 즐길 수 있죠. ‘섹스 앤 더 시티’의 주인공들이 먹을 법한 서양식 아침식사부터 베트남식, 중식, 한식 등 다양한 메뉴와 환상의 짝꿍을 이룰 법한 화이트 와인, 어디 없을까요?

‘리슬링’이 치트키입니다. 독일에서 유래해 현재 전 세계에서 재배되는 리슬링은 샤도네이, 소비뇽블랑 등과 함께 가장 인기가 많은 화이트 품종입니다. 리슬링은 마치 연기 폭이 넓어 사랑받는 배우 김태리 같습니다. 달콤한 과실향, 은은한 산미, 기분 좋은 페트롤(기름) 향, 드라이한 스타일 등 단일 품종에서 다양하고 복합적인 맛의 스펙트럼을 펼쳐 내기 때문에 쉽게 질리지 않고, 어떤 음식과도 잘 어울린답니다. ‘페어링의 마술사’로 통할 법하죠.

지난 일요일 오전 11시, 하루 종일 리슬링을 마시며 다음날 출근을 잊어 보겠단 이들이 서울 종로구 계동의 와인바 ‘라꾸쁘’에 모였습니다. 바를 운영하는 양진원 대표는 와인과 음식을 매칭해 더 맛있게 먹는 법을 연구하고 강의하는 페어링 전문가입니다. 롯데마트의 주류편집매장인 보틀벙커를 총괄하는 강혜원 상무는 “‘여름 와인=소비뇽블랑’이라는 선입견을 리슬링으로 깨고 싶다”면서 각기 다른 캐릭터의 리슬링을 여러 병 들고 왔고요.

삼시 세끼의 ‘첫 끼’는 팬케이크였습니다. 클로티드 크림에 딸기를 얹은 팬케이크 한 조각은 알코올 도수가 9~10도로 낮고, 달콤한 과실향이 풍부한 리슬링 한 모금에 사르르 녹았습니다. 양 대표는 “리슬링은 크게 달콤한 스타일(독일 카비넷), 드라이한 스타일(프랑스 알자스)로 나뉘는데 달걀을 활용한 요리가 많고, 달콤한 크림이나 잼을 먹게 되는 흔한 브런치 메뉴나 상큼한 베트남 음식에는 독일 카비넷 스타일이 어울린다”고 추천하더군요.

강 상무는 점심 메뉴로 탕수육과 군만두를 선택했습니다. 만두의 육즙과 바삭한 탕수육의 기름진 맛은 잔당이 거의 없고, 산미가 높으며 알코올 도수가 13~14도로 높은 편인 리슬링이 살려 주더군요. 평소 드라이한 술을 선호하는 취향이라면 와인을 구매할 때 “프랑스 알자스 스타일의 리슬링을 달라”고 하면 됩니다.

최근 가장 각광받는 리슬링 산지인 ‘호주산 리슬링’은 거의 모든 음식과 잘 어울렸습니다. 아침과 점심을 먹고 남은 음식에 치킨과 피자, 제육볶음을 곁들였는데 특유의 페트롤 향이 특히 기름진 음식과 찰떡궁합을 이루더군요. 실제로 호주는 세계에서 네 번째로 리슬링을 많이 생산하는 나라입니다. 또 리슬링 최대 산지 남호주의 테루아는 독일과 비슷한데 기후는 더 따뜻해 와인의 캐릭터가 선명합니다. 묘하게 중독성이 있는 페트롤 향을 좋아하고, 가성비가 뛰어난 리슬링을 원한다면 주저 없이 호주 리슬링을 고르면 되겠죠.
심현희 기자
2022-05-20 18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위기 당신의 생각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후 의료계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인력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공백 위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의료계 책임이다
정부 책임이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책임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