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전체메뉴 열기/닫기검색
서울신문 ci

“731부대원, 세균전 마루타 실험자료로 박사논문 문제없이 통과”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1-09-18 18:01 국제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中 ‘731부대 죄증진열관’, 만주사변 90주년 맞아 공개

731부대가 실시한 ‘페스트 벼룩’ 투하에 따른 인명피해 실험 자료 중국중앙(CC)TV 캡처

▲ 731부대가 실시한 ‘페스트 벼룩’ 투하에 따른 인명피해 실험 자료
중국중앙(CC)TV 캡처

일제의 중국 침략 당시 포로와 주민들을 대상으로 세균전 인체실험을 했던 731부대 부대원이 당시 실험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한 논문으로 문제없이 박사학위를 받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8일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헤이룽장성 하얼빈에 위치한 731부대 죄증(범죄증거) 진열관 측은 731부대원으로 세균전 인체실험에 참여했던 가네코 준이치의 도쿄대 의학박사 학위 인증 자료를 최근에 공개했다.

가네코의 논문에는 비행기에서 세균을 뿌리는 방식으로 실시한 실험 데이터가 실려 있는데, ‘페스트 벼룩 5g을 투하하면 1차로 감염된 8명이 죽고, 607명에게 전염된다’는 내용과 함께 투하량을 늘릴 경우 인명피해가 얼마나 증가하는지 수치 등이 제시돼 있다는 것이다.

진열관 측은 “관련 데이터는 1940~1942년 때 것”이라며 “일제가 지린성·저장성·후난성·장시성 등에서 진행한 세균전 자료로, 일제가 벌인 세균전의 가장 직접적인 증거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논문 자체는 기존에 알려졌지만, 학위 논문 심사 자료가 공개된 것은 중국 내에서 처음이라는 게 진열관 측 설명이다.

진열관 측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지 4년이 지난 1949년에 논문 심사가 이뤄졌는데도 전문가 27명이 만장일치로 해당 논문을 통과시켰다며 “어떠한 비판이나 질책도 없었고, 모두 정상이며 당연한 것으로 생각했다”고 가네코 본인은 물론 학위 심사를 담당했던 이들의 ‘윤리의식 결여’를 지적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