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바람 빠진 ‘노도강’ 풍선효과 … 호가 이어 실거래도 ‘마이너스’

바람 빠진 ‘노도강’ 풍선효과 … 호가 이어 실거래도 ‘마이너스’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20-04-19 17:22
업데이트 2020-04-20 01: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發 집값 하락세 수도권 번지나

강북 14區 전체 매매가 41주 만에 하락
서울 주간 매매가 -0.05% 내림폭 커져
여당 압승에 규제 강화·세금 이슈 ‘악재’
저금리 기조로 비규제 지역 영향 적을 듯
이미지 확대
서울 도봉구 창동 ‘북한산아이파크5차’ 전용 119㎡는 지난달 11일 8억 8000만원에 거래됐다. 12·16 부동산 대책 이후인 올 1월 9억 5000만원에 신고가를 찍었는데 두 달 새 1억 가까이 빠진 것이다. 도봉구 쌍문동 ‘한양7’ 84㎡는 이달 초 4억 300만원에 팔렸다. 같은 층이 지난달 중순 4억 4300만원에 팔린 것과 비교하면 4000만원 떨어졌다.

정부 규제와 코로나19 여파로 서울 강남권에서 시작된 아파트값 하락세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을 넘어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 외곽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특히 그간 강북 상승세를 이끌던 노도강 지역이 보합으로 전환되며 강북 14개구 전체의 매매가격 변동률(-0.02%)도 마이너스가 됐다. 2019년 7월 첫째주 이후 41주 만에 하락세로 돌아선 것이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사태로 인한 경기침체 여파에 따라 수도권 외곽 지역까지 집값 하락세가 번질 수 있다”고 전망한다.

16일 한국감정원의 4월 둘째주(13일 기준) 매매가격 동향에 따르면 노원구와 도봉구, 강북구는 이번 주 나란히 보합(0.00%)을 기록하며 지난주(0.03%)에 비해 상승세가 멈췄다. 마포(-0.06%)·용산(-0.05%)·성동구(-0.02%) 등 주요 대표 단지 호가 내림세도 지속됐다. 이에 따라 서울 전체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도 전주 -0.04%에서 -0.05%로 하락폭이 커졌다.
이미지 확대
최근 호가를 낮추는 매물들도 등장하고 있다. 신고가 행진을 이어 가던 한 달 전 모습과는 사뭇 달라졌다. 서울 노원구의 한 공인중개소 관계자는 “가격이 크게 떨어지지는 않았지만 최근 들어 가끔 호가를 낮추는 매물들도 나온다”며 “지난달에 전용 84㎡가 7억 3000만원까지 거래됐었는데 지금 호가는 7억 초반대로 내려갔다”고 말했다.

실거래 가격이 하락하는 곳도 하나둘 나타나고 있다. 강북구 삼각산아이원 전용 84㎡도 지난 3월 6억원(12층)으로 최고가를 찍었지만 지난 1일 5억 2500만원(4층)에 손바뀜 됐다. 급격하게 위축되고 있는 심리는 매매수급지수 통계에서도 나타난다. 지난 6일 기준 서울 아파트 시장의 매매수급지수는 98.4를 기록해 25주 만에 100 밑으로 떨어졌는데, 강북권 매매수급지수 역시 99.3으로 100을 하회했다. 매매수급지수가 100 아래로 내려가면 공급이 더 많고 100 이상이면 수요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거래도 쪼그라들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3월(4월 13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3935건으로 지난 2월(8274건)보다 52% 줄었다. 다만 주택매매 신고일이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에 하게 돼 있어 거래량이 늘어날 여지가 있다. 하지만 노원·도봉·강북구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전달에 비해 각 51.3%, 51.5%, 46.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단기간 서울의 집값 하락세가 이어져 수도권까지 확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열매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서울 전역에 걸쳐 중저가 아파트 상승흐름이 둔화되고 있다”며 “코로나 영향으로 심리가 위축되고 거래량은 줄고 있어 당분간 서울 집값이 소폭 가격 조정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서울은 거시경제나 정책 등 환경 영향을 크게 타는 곳이라 여당의 압승에 따른 정부 규제 강화 예상, 세금 이슈, 코로나발 경기 위축이 맞물려 수요까지 위축돼 단기간 집값 하락세가 서울 외곽으로 번질 수 있다”면서 “다만 저금리 기조 아래 풍부한 유동자금을 발판으로 정부의 핀셋규제에서 벗어난 인천 등 비규제 지역의 경우는 집값 하락 여파가 크게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20-04-20 2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