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논설위원의 사람 이슈 다보기] 인간 중심 경제학 지향… 역대 개혁정부 싱크탱크 역할

[논설위원의 사람 이슈 다보기] 인간 중심 경제학 지향… 역대 개혁정부 싱크탱크 역할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19-01-24 17:34
업데이트 2019-01-27 14: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경제학계 큰 나무 ‘학현연구실’

“우리 연구실(학현연구실)이 지향하는 방향은 ‘인간 중심의 경제학’이었습니다. 주류경제학과는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 빈곤하고 소외된 계층에 대해 따뜻한 시선을 가진 연구자들을 육성하고 지원하는 곳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변형윤 교수 대화록 ‘냉철한 머리, 뜨거운 가슴을 앓다’ 중)

●조순·서강학파와 더불어 3대 학파로 꼽혀

김태동(성균관대 명예교수) 전 청와대 경제수석과 이정우(경북대 명예교수·한국장학재단 이사장) 전 청와대 정책실장, 홍장표(부경대 교수·현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 위원장) 전 경제수석 등은 모두 이른바 역대 ‘개혁 정부’ 경제정책의 밑그림을 그린 경제학자다. 김 전 수석은 국민의정부, 이 전 실장은 참여정부에서 일했다. 홍 전 수석은 문재인 정부 소득주도성장론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했다고 평가받는다. 이들은 일종의 ‘동학’(同學)에 해당한다. 성장 일변도의 한국 경제학계에 분배의 중요성을 알렸던 학현학파에 몸담았다. 조순학파, 서강학파와 더불어 한국 경제학계의 3대 학파로 손꼽히는 학현학파가 개혁 정부들의 ‘싱크탱크’ 역할을 한 셈이다.

●변형윤 교수 설립… 진보 학자들 요람으로

학현(學峴)은 변형윤 서울대 경제학과 명예교수의 호다. 변 교수는 1980년 5월 ‘지식인 134인 시국선언’을 주도해 신군부에 의해 해직된 뒤 서울 광화문에 개인 연구실인 학현연구실을 열었다.

당초 계량경제학자였던 변 교수는 해직 기간 동안 정치경제학과 마르크스 경제학 쪽으로도 관심을 넓혔다. 학현연구실은 1984년 9월 변 교수의 복직을 계기로 정식 연구 공간으로 출범했고, 이후 1993년 ‘서울사회경제연구소’로 확대 개편되면서 한국 사회 진보 경제학자들의 요람이 됐다.

학현연구실의 주요 참여자는 강남훈(한신대), 강명헌(단국대), 강신욱(통계청장), 강철규(전 공정위원장, 전 우석대 총장), 고 김기원(한국방송통신대), 김윤자(한신대), 김태동, 박복영(경희대), 양우진(한신대), 원승연(명지대, 금융감독원 부원장), 윤원배(숙명여대), 고 윤진호(인하대), 이병천(강원대), 이정우, 이제민(연세대,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홍장표 등이 꼽힌다. 국내파와 유학파가 골고루 안배돼 있다. 변 교수는 “연구실 멤버들은 신고전파 주류경제학자로부터 마르크스 경제학을 전공한 사람까지 학문적 스펙트럼이 매우 다양했지만 인간 중심의 경제학을 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는 이들이 많았다”고 떠올렸다.

●‘분배 없이는 성장 없다’ 강조

서울대 경제학과 출신 학자들을 기반으로 한 학현학파와 조순학파를 칼로 무 자르듯 나누는 건 쉽지 않다. 성장과 분배를 동시에 중시한다는 면에서 이론적인 이질감도 크지 않다. “학현학파는 ‘분배 없이는 성장 없다’를 강조하고, 조순학파는 ‘성장 없이는 분배 없다’를 더 강조한다”(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정도가 차이라면 차이다.

지난해 6월 홍 전 수석이 교체되면서 학현학파의 위상이 축소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었다. 그러나 이제민 교수가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으로 최근 임명되면서 현 정부 경제정책에서 일정한 영향력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두걸 논설위원 douzirl@seoul.co.kr
2019-01-25 28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