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美 5개주 경선, 힐러리 전승 “사실상 민주당 대선후보”…트럼프도 대승

美 5개주 경선, 힐러리 전승 “사실상 민주당 대선후보”…트럼프도 대승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4-27 10:50
업데이트 2016-04-27 1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힐러리 대의원 매직넘버 9부 능선 도달…샌더스 추격 사실상 불가능

트럼프는 대승에도 결선투표격 ‘경쟁 전당대회’ 승부 가능성 여전

미국 동북부 5개 주에서 펼쳐진 대선 경선에서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완승을 거두며 사실상 민주당의 대선 후보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경선이 레이스의 종반부로 향하는 길목이어서 클린턴 전 장관이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의 추격권을 넘어서 매직넘버의 9부 능선에 도달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미지 확대
미국 민주당의 대선 경선에서 1위를 달리고 있는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26일(현지시간) 인디애나주 해먼드에서 유세를 펼치고 있다. EPA=연합뉴스
미국 민주당의 대선 경선에서 1위를 달리고 있는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26일(현지시간) 인디애나주 해먼드에서 유세를 펼치고 있다. EPA=연합뉴스
클린턴 전 장관은 26일(현지시간) 오후 9시 현재 총 462명의 대의원이 걸린 5개 주 승부에서 210명의 대의원으로 가장 많은 ‘대형주’인 펜실베이니아에서 압승한 것을 비롯해 메릴랜드(118명)와 델라웨어(31명) 등 3개 주의 승리를 확정지었다.

이로써 클린턴 전 장관이 지금까지 확보한 대의원 수는 당 대선후보 지명에 필요한 ‘매직넘버’(2383명)의 ‘9부 능선’에 도달해 사실상 경쟁자인 버니 샌더스(버몬트) 상원의원을 따돌린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경선 레이스는 오는 6월 14일까지 이어지지만 클린턴 전 장관은 이날 완승의 여세를 몰아 사실상 대선 본선 행보를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클린턴 전 장관은 지난 2월 1일 아이오와 주 신승과 뉴햄프셔 주 패배로 경선 레이스를 시작하는 등 초반 ‘대세론’이 꺾이는 불안한 출발을 보였지만 ‘슈퍼화요일’과 ‘미니 슈퍼화요일’, 뉴욕 결전 등 승부처에서 완승하며 대체로 여유있는 경선전을 펼쳐왔다.

경쟁자인 샌더스 의원은 이날 결과에 상관없이 경선 레이스를 완주하고 7월 전당대회 대결까지 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공화당의 경우, 역시 선두 주자인 도널드 트럼프가 총 172명의 대의원이 걸린 펜실베이니아를 비롯해 메릴랜드, 코네티컷, 로드 아일랜드, 델라웨어 등 5개 주에서 모두 큰 승리를 거두며 자력으로 당 대선 후보가 지명되는 길에 성큼 다가섰다.

이미지 확대
트럼프 전국 지지율 첫 ’50%’
트럼프 전국 지지율 첫 ’50%’ 26일(현지시간) NBC 뉴스에 따르면 NBC 뉴스와 서베이몽키가 18∼24일 사이에 공화당원과 공화당 성향 유권자 1만70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트럼프의 지지율은 50%로 나타났다. 이는 전주 조사보다 4%포인트 올라선 것으로, 트럼프의 지지율이 작년 말 시작된 이 조사에서 50%에 이른 것은 처음. 사진은 트럼프가 이날 펜실베이니아주 윌커스-베어 유세 연설을 마치고 엄지 손가락을 쳐든 모습.AP 연합뉴스
다만 대선 후보로 지명되는데 필요한 ‘매직넘버’인 대의원 과반(1237명)에는 아직 도달하지 못해 경선 레이스는 오는 6월 7일까지 마지막 경선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여전하다고 미 언론은 전했다.

특히 2, 3위 주자인 테드 크루즈(텍사스) 상원의원과 존 케이식 오하이오 주지사가 트럼프의 대선후보 지명을 저지하기 위한 연대를 구축한 상태여서 그 파괴력이 주목된다.

트럼프가 레이스만으로 대의원 과반을 확보하면 7월 전당대회 1차 투표에서 무난히 대선 후보가 되겠지만, 과반 확보에 실패하면 투표가 거듭돼 트럼프가 후보 지명에 실패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