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아침 서울신문에서 확인한 노인 빈곤 및 자살의 현실은 참담했다. 잘 알려진 대로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21.4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다. 그런데 65세 이상 노인의 자살률은 이보다 훨씬 높아 10만명당 무려 49.6명에 이른다. 노인 자살률이 가장 낮은 네덜란드는 인구 10만명당 2.0명에 불과하다. 이렇게 보면 한국의 자살률이 치솟은 것은 노인 자살률 때문이고, 높은 자살률의 배경에는 다시 49.6%의 압도적인 노인 빈곤율이 도사리고 있다. OECD 국가의 평균 노인 빈곤율은 12.6% 정도라니 한국의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다. 우리 어르신들의 처지가 안타까울 뿐이다.
한국의 노년 세대는 한마디로 빈곤과 자살의 취약 계층이다. 지난해 보건복지부 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10.9%는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이 40.4%로 가장 많았고, 건강이 24.4%로 뒤를 이었다. 노인 빈곤의 실상은 OECD 보고서에서도 드러난다. 지난해 한국 남성의 실질 은퇴 연령은 72.9세로 2년 전보다 1.8년 늘어났다. 여성의 실질 은퇴 연령은 70.6세로 지난해 처음 70대에 진입했다. 2007년보다 2.7년 늦춰진 것이다. 질병에 시달리면서도 생계 때문에 늦은 나이까지 허드렛일에 매달리고 있다는 뜻이다. 그러다 건강이 견뎌 내지 못하면 극단적 선택을 해야 하는 것이 우리 어르신들이다. OECD 보고서는 상황이 호전되기는커녕 급격히 악화돼 가고 있음을 보여 준다.
지난해 자살한 사람 가운데 60세 이상은 4141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질병 때문에 돌아오지 못할 길을 택한 노인이 전체의 44.0%에 이르는 1824명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한국의 노인 자살이 보여 주는 특징의 하나가 외로움과 심리적 고립감이 더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지금의 노년 세대는 늙은 부모를 봉양한 마지막 세대이지만 자녀로부터 부양받지는 못하는 세대다. 경제적인 대비는 물론 심리적인 대비도 없이 노년을 맞았다는 것이다.
인간의 수명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조만간 100세 시대를 맞을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노인 빈곤에 대한 대책이 없는 100세 시대는 노년 세대의 불행만 커지는 시대가 될 수밖에 없다. 이제부터 노인 복지의 당면 목표를 노년 세대의 행복이 아닌 빈곤의 퇴치와 생존에 맞추어야 한다. 재원 마련의 문제에 국한돼서는 안 될 일이다. 노년 세대가 외로움을 떨치고 고립감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한국식 노인복지로 패러다임도 바뀌어야 할 것이다.
한국의 노년 세대는 한마디로 빈곤과 자살의 취약 계층이다. 지난해 보건복지부 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10.9%는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이 40.4%로 가장 많았고, 건강이 24.4%로 뒤를 이었다. 노인 빈곤의 실상은 OECD 보고서에서도 드러난다. 지난해 한국 남성의 실질 은퇴 연령은 72.9세로 2년 전보다 1.8년 늘어났다. 여성의 실질 은퇴 연령은 70.6세로 지난해 처음 70대에 진입했다. 2007년보다 2.7년 늦춰진 것이다. 질병에 시달리면서도 생계 때문에 늦은 나이까지 허드렛일에 매달리고 있다는 뜻이다. 그러다 건강이 견뎌 내지 못하면 극단적 선택을 해야 하는 것이 우리 어르신들이다. OECD 보고서는 상황이 호전되기는커녕 급격히 악화돼 가고 있음을 보여 준다.
지난해 자살한 사람 가운데 60세 이상은 4141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질병 때문에 돌아오지 못할 길을 택한 노인이 전체의 44.0%에 이르는 1824명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한국의 노인 자살이 보여 주는 특징의 하나가 외로움과 심리적 고립감이 더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지금의 노년 세대는 늙은 부모를 봉양한 마지막 세대이지만 자녀로부터 부양받지는 못하는 세대다. 경제적인 대비는 물론 심리적인 대비도 없이 노년을 맞았다는 것이다.
인간의 수명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조만간 100세 시대를 맞을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노인 빈곤에 대한 대책이 없는 100세 시대는 노년 세대의 불행만 커지는 시대가 될 수밖에 없다. 이제부터 노인 복지의 당면 목표를 노년 세대의 행복이 아닌 빈곤의 퇴치와 생존에 맞추어야 한다. 재원 마련의 문제에 국한돼서는 안 될 일이다. 노년 세대가 외로움을 떨치고 고립감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한국식 노인복지로 패러다임도 바뀌어야 할 것이다.
2015-12-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