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인당 국민소득 2만8천弗 7.6%↑…성장률은 3.3%

작년 1인당 국민소득 2만8천弗 7.6%↑…성장률은 3.3%

입력 2015-03-25 08:20
업데이트 2015-03-25 1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8천달러를 넘어섰다.

그러나 국내총생산(GDP) 기준 실질 성장률은 3.3%에 그쳤다. 1인당 국민소득의 증가에는 환율 영향이 적지않았던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4년 국민계정 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8천180달러(2천968만원)로 전년(2만6천179달러)보다 2천1달러(7.6%) 늘었다.

2006년 처음으로 2만달러 선에 진입한 1인당 국민소득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1만8천303달러로 떨어졌다가 2011년 2만4천302달러, 2012년 2만4천696달러 등으로 증가해왔다.

개인 부문(가계 및 비영리법인)의 소득을 보여줘 ‘국민의 주머니’ 사정과 가장 밀접한 지표인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5천786달러로 전년(1만4천704달러)보다 1천81달러 늘었다.

그러나 이처럼 소득 증가폭이 큰 원인 중 하나로는 원.달러 환율이 연평균 3.8% 떨어진 영향도 꼽힌다.

실제 지난해 1인당 PGDI를 한국 돈으로 환산하면 1천662만6천원으로 2013년(1천610만2천원)보다 3.3% 증가에 그쳤고 1인당 GNI증가율도 한국 돈으로는 3.5%에 불과했다.

실질 GNI 증가율도 전년보다 3.8% 늘어나는 데 그쳤다.

실질 GNI는 물가 등을 감안한 국민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 수치가 늘어난 것은 지난해 교역조건이 나아져 실질 무역손실규모가 2013년보다 줄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GDP 기준 성장률은 3.3%로 더 낮았다. 2013년의 성장률은 2.9%였다. 지난해 명목 GDP는 1천485조1천억원으로 전년보다 3.9% 늘었다.

전분기 대비 분기별 실질 성장률은 작년 1분기 1.1%에서 2분기 0.5%, 3분기 0.8%에 이어 4분기에는 0.3%로 뚝 떨어졌다. 4분기 성장률은 속보치(0.4%)보다도 조금 낮은 수준이다.

신승철 한은 국민소득총괄팀장은 “추가로 확보된 자료를 반영하니까 속보치 때보다 12월 수치를 중심으로 4분기 성장률이 다소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 연간 GDP 증가율(실질 기준)을 보면 건설업은 0.6%에 그쳐 전년(3.0%)보다 크게 둔화됐다. 지난해 건물 건설은 4.6% 늘었지만 토목건설이 5.3% 준 영향이다.

농림어업(3.1%→2.6%)도 성장세가 둔화됐고 광업(8.1%→-0.2%)은 아예 감소세로 전환했다.

이에 비해 제조업은 2013년 3.6%에서 지난해 4.0%로 증가율이 높아졌다. 서비스업(2.9%→3.1%)의 성장세도 확대됐다.

서비스업은 영역별로 명암이 엇갈렸다. 자영업자 등 체감 경기와 밀접한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2.8%→2.5%)은 성장세가 둔화했다. 이에 비해 운수 및 보관업(1.4%→2.4%), 금융보험·부동산 및 기타(1.4%→2.4%) 등은 성장세가 확대됐다.

지출측면에서 보면 지난해 민간소비는 1.8% 늘어 전년(1.9%)보다 둔화됐다. 건설투자(5.5%→1.0%)나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4.3%→2.8%)도 증가율이 낮아졌다.

다만, 2013년 마이너스 성장(-0.8%)했던 설비투자는 지난해 5.8% 플러스 성장하면서 호전됐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4.4%→4.6%)도 증가율이 상승했다.

지난해 총저축률은 34.7%로 전년(34.3%)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국내 총투자율은 29.0%로 전년과 동일하게 낮은 수준을 보였다.

노동소득분배율은 62.6%로 역시 전년(61.7%)보다 상승했다.

가장 포괄적인 물가수준을 보여주는 GDP 디플레이터는 지난해 0.6%로 전년(0.9%)보다 다소 낮아지면서 0%대 수준을 지속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