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 “창의 + 과학·ICT = 좋은 일자리”

<창조경제> “창의 + 과학·ICT = 좋은 일자리”

입력 2013-06-05 00:00
업데이트 2013-06-05 1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일 정부가 정립한 창조경제의 개념은 ‘국민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에 접목, 새로운 산업과 시장을 창출하고 기존 산업을 강화해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경제전략’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후보자시절 부터 제시한 창조경제는 새 정부의 핵심 정책 기조다. 개념이 모호하다는 지적을 받아왔으나 정부는 이날 합동 브리핑에서 창조경제의 정의를 한마디로 만들어 설명했다.

창조경제의 목표는 성장 동력인 신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다. 박근혜 정부는 그 수단으로 우리나라가 강점을 보이는 ICT와 산업의 ‘기초체력’인 과학기술을 택했다.

창조경제는 정부 정책만으로는 이룰 수 없다. 창조경제의 주역은 개인과 기업 등 민간이다. 개인과 기업이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도록 돕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다.

창조경제 생태계는 개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자산이 되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이 일자리가 개인과 기업, 국가의 성장을 돕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상상력이 창조경제의 씨앗 역할을 한다. 아이디어는 일반 회사원, 학생, 직장인, 청소년 등 누구나 제시할 수 있다.

이들의 아이디어에 과학기술과 ICT를 접목하면 실제 제품과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콘텐츠를 보고 싶다’는 바람이 실현된 것이 그 예다.

아이디어를 자산으로 만들려면 ‘한번 해보자는’ 도전정신이 필요하다. 교육 현장과 사회 전반에 ‘기업가 정신’을 고취해 벤처기업과 청년 창업을 활성화해야 하는 중요성이 여기에 있다.

윤종록 미래창조과학부 2차관이 번역해 국내에 창조경제 개념을 전파한 책 ‘창업국가’를 보면 이스라엘이 풍부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벤처생태계를 이룩해 경제성장을 이룬 비결로 ‘과감하게 도전하는 정신’이 강조되고 있다.

벤처·창업기업이 새로운 산업과 시장을 만들면 기존 산업과 기업들도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다. 창조경제를 실현하면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상생·협력, 글로벌 진출은 자연스럽게 따라올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