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공포] 환자 6명 격리 전에 일상생활… 지역사회 전파 배제 못해

[메르스 공포] 환자 6명 격리 전에 일상생활… 지역사회 전파 배제 못해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5-06-02 23:38
업데이트 2015-06-03 04: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차 감염’ 우려가 현실로

60대 남성의 몸에 ‘무임승차’해 한국에 상륙한 메르스 바이러스가 걷잡을 수 없이 퍼지고 있다. 메르스로 2명이 숨지고 보건당국이 우려했던 3차 감염이 시작돼 지역사회 전파 위험성을 배제하기 어렵게 됐다. 3차 감염은 메르스 첫 감염자로부터 전염된 2차 감염자가 제3의 인물에게 바이러스를 옮기는 것이다. 최초 환자와 전혀 접촉하지 않은 사람도 얼마든지 메르스에 걸릴 수 있어 본격적인 지역 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미지 확대
10번째 환자(44), 15번째 환자(35), 17번째 환자(45), 19번째 환자(60), 21번째 환자(59), 22번째 환자(39)가 격리되기 전 정부 통제 밖에서 직장을 다니는 등 일상생활을 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도 2일 “직장의 밀접 접촉자는 얼마든지 파악할 수 있지만 출근길 지하철에서 만난 사람이나 식당에서, 또는 길에서 만난 사람까지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재갑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지역사회 전파가 없었으나 우리는 바이러스에 노출된 사람들이 많아 안심할 수 없다”며 “일단 지역사회로까지 바이러스가 흘러 들어가지 않게 병원 내 발병 단계에서부터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사회 전파가 시작되면 감염 환자가 급격히 불어나는 ‘대유행’이 시작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메르스 환자가 입원한 병원이 전국에 퍼져 있는 점도 국민을 불안하게 한다. 이에 대해 권준욱 복지부 메르스기획총괄반장은 “메르스 환자는 전국의 음압병상(병실 내 공기가 바깥으로 나가지 않게 설계된 병실)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데, 읍압시설은 외부로 메르스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것을 확실히 차단하기 때문에 지역사회에 영향을 주지 않고, 따라서 병원이 특정 지역에 있다고 특정 지역의 메르스 전파 위험을 높이는 일은 절대 없다”고 강조했다.

애당초 보건당국이 최초 환자 A씨와 같은 병실을 사용한 환자, 보호자, 의료진으로 격리 관찰 범위를 넓혔다면 3차 감염 사태까지는 막을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건당국이 대응 초기에 최초 환자와 같은 병실에 있었던 환자 및 보호자에게만 집착하는 바람에 같은 병동 입원 환자와 보호자는 방역망의 사각지대에 있었다. 2일 발생한 환자 6명 중 5명이 최초 환자와 같은 병동에 있던 환자나 보호자다. 23번째(73), 24번째(78) 환자에게 바이러스를 옮긴 2차 감염자 16번째 환자(40)도 처음에는 메르스 의심자로 분류되지 않았다. 보건당국이 16번째 환자를 의심자로 분류한 것은 지난달 30일이다. 보름 가까이 환자를 격리관찰 대상으로 생각하지 않다가 3차 감염 발생 직전에서야 의심자 명단에 포함한 것이다. 이른바 ‘제로베이스’에서 같은 병동의 환자, 의료진, 간병인, 문병인을 샅샅이 조사하다 보면 3차 감염자가 더 나올 수 있는 상황이다. 전날 숨진 50대 여성도 정부는 메르스 환자라고 의심하지 못했다.

메르스 위기경보 수준을 격상해 범정부 차원에서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많지만 정부는 당분간 그럴 생각이 없어 보인다. 문형표 복지부 장관은 “지역사회로 전파된다면 ‘3단계 경계’나 ‘4단계 심각’ 수준으로 높여 전체 정부 차원에서 대응하겠지만 아직은 ‘2단계 주의’를 유지하고 진행하는 게 적합하다는 합의가 있었다”고 밝혔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6-03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