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학교도 학원도 문닫고 아이들은 놀이터도 안 간다

학교도 학원도 문닫고 아이들은 놀이터도 안 간다

입력 2015-06-03 16:13
업데이트 2015-06-03 16: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썰렁하기만 한 메르스 첫 사망자 발생지역지역…상점가도 손님 ‘뚝’주민들 “투명한 정보공개가 지역사회 불안감 해소할 것”

3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첫 사망자가 나온 경기도 한 지역은 을씨년스러울 정도로 조용했다.

메르스 여파로 전날인 2일부터 전국 첫 휴업한 A초등학교는 휴업 이틀째인 이날 학교 관리자급 교직원을 중심으로 최소한의 인력만 출근했다.

맞벌이 부부 등을 위해 돌봄교실 등을 준비했으나 전교생 1천300여명 중 단 11명만이 등교했다. 병설유치원에는 원생 60여명 중 2명만 등원했다.

평소 재량휴업일에 70여명이 학교에 오는 것과 비교해 상당히 적은 수다.

전날 메르스 감염예방 차원에서 학교 전체를 소독한 탓에 복도마다 창문이 열려있었지만 건물 안에 사람이 별로 없어 고요하기까지 했다.

저마다 마스크를 쓰고 틈날때마다 손을 씻는 학생들의 모습에서 메르스에 대한 걱정을 엿볼 수도 있었다.

A초교 교장은 “맞벌이 부부들도 학교 보내는 대신 자녀를 가족들에게 부탁할 정도로 외출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평소 학생들은 등교하지 않으면 아파트 단지 내 놀이터나 학원을 갔을 텐데 메르스 확산우려 때문인지 밖에서도 아이들의 자취를 찾을 수 없었다.

A초교 학부모회장은 “외부인 접촉을 피하려고 집밖으로 나가지 않고 있다. 이 지역 초등반 학원도 어제부로 거의 휴강했다”며 “아이들 스스로도 나가려 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고등학교는 큰 동요없이 평소대로 운영되는 것 같다”면서도 “아파트 창문을 열면 시끄러워 TV 볼륨을 올렸어야 했는데 오늘은 정말 조용했다”고 말했다.

학교나 학원가 뿐만 아니었다.

15만여명 규모의 신도시가 들어선 지역 특성상 대형 쇼핑몰과 고층 아파트 단지가 밀집해 있어 평일 낮에도 거리엔 자동차와 주민들로 붐비던 평소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였다.

영화관, 의류판매, 음식점 등 수십개의 상점이 즐비한 한 대형 쇼핑몰 내부에는 마스크를 쓴 직원 외에 손님은 거의 찾아볼 수 없어 삭막했다.

점심식사 시간이면 차례를 기다리는 손님들로 장사진을 이루던 한 뷔페식당은 이날 테이블 곳곳이 비어 한산할 정도였다.

에스컬레이터 앞에서 선글라스를 판매하는 직원은 “오후 2∼3시쯤 되면 대여섯개는 팔았어야 하는데 엊그제부터 쇼핑몰에 오는 손님이 없어 오늘도 하나도 못팔았다”고 걱정했다.

시내 은행에도 찾는 고객이 뚝 끊겨 평소 대기시간이 1시간 걸리던 것이 이 날은 고객 1∼2명이 전부였다.

메르스 첫 사망자가 나온 B병원은 지하1∼3층·지상주차장이 텅텅 비었을 정도로 내원객이 줄었다. 병원 관계자들은 “입원했던 환자들마저 퇴원하는 마당에 누가 병원에 오겠느냐”며 걱정했다.

주민들은 지역사회 안정을 위해선 정부당국의 명확한 설명과 정보공개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A초교 학교운영위원장은 “메르스 괴담이 처음 돌았을 때는 모두 불안해했고 두려웠다. 그러나 교장선생님이 직접 나서 괴담에 대한 사실관계를 확인해주셨고 학교의 대책을 정확히 안내해주신 뒤로 안정을 되찾았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 이지역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오히려 ‘근거없는 소문에 휩쓸리지 말자’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정부도 나서 국민의 불신을 없애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B병원 한 직원도 “메르스와 관련해 병원이나 정부기관 어디서도 명확히 설명해주지 않아 답답하고 늘 불안한 마음으로 일하고 있다”며 “’걱정하지 말고 일하라. 만약 무슨 일이 생기면 우리가 책임지겠다’는 말 한만디만 해줘도 안심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