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에도 청소년 몰리는 이곳…‘만남의 장소’된 편의점

명절에도 청소년 몰리는 이곳…‘만남의 장소’된 편의점

송현주 기자
송현주 기자
입력 2025-01-28 14:00
수정 2025-01-28 14: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고수호(16)군과 친구들이 운동을 한 후 서울 종로구의 한 편의점에서 시간을 보내는 모습. 고수호군 제공
고수호(16)군과 친구들이 운동을 한 후 서울 종로구의 한 편의점에서 시간을 보내는 모습. 고수호군 제공


“저희가 편안하게 만날 수 있는 유일한 장소 아닐까요.”

지난 26일 서울 종로구의 한 편의점 앞에서 만난 고수호(16)군은 “학생들끼리 가기에는 카페보다 가격도 싸고, 앉아서 먹을 수 있는 곳이 많다. 가볍게 잠깐 수다 떨기에도 좋다”며 편의점이 ‘만남의 장소’가 된 이유를 설명했다.

단순히 물건을 파는 곳이 아니라 아이들에게 휴식처이자 모임 장소가 된 편의점은 접근성이 뛰어나고, 테이블과 의자 등이 갖춰진 경우가 많다. 게다가 24시간 영업, 연중무휴로 운영하는 곳도 많아 언제든 쉽게 모일 수 있다. 설 명절 연휴에도 많은 청소년이 편의점에서 만나는 이유기도 하다. 김준석(11)군은 “친구들과 같이 가서 이야기도 하면서 시간을 보내니까 재밌다”며 “눈치 보지 않고, 간식을 먹으면서 이야기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라고 했다.

청소년들은 편의점에 들러 식사하거나 간식을 먹기도 하지만 친구들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서울 노원구의 한 편의점 앞에서는 학원에 가기 전 모인 아이들은 서로를 바라보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서하민(14)군은 “친구들과 저녁 먹고 싶을 때마다 이곳에 온다”고 했다. 라면과 삼각김밥을 먹으면서 이야기를 나누던 진수빈(16)양과 한지우(16)양은 “편의점은 심심할 때마다 친구들과 함께 오는 곳”이라고 전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동네마다 있는 편의점이 아이들이 자유롭게 모일 수 있는 새로운 공간으로 자리 잡은 것”이라고 말했다. 정익중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아이들이 모이는 건전한 장소가 생겼다는 건 긍정적이지만, 그 장소가 놀이터와 같은 놀이공간이나 학교나 지방자치단체가 마련한 공간은 아니다”며 “아동·청소년이 쉽게 찾을 수 있고, 건강하고 건전하게 놀 수 있는 공간을 더 확보해야 한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