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풀이되는 지하공간 침수…“5~10분이면 천장까지”

되풀이되는 지하공간 침수…“5~10분이면 천장까지”

윤예림, 신진호 기자
입력 2023-07-16 15:29
업데이트 2023-07-16 15: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하공간 침수대비 행동요령
국민재난안전포털 웹사이트 게시
“5~10분이면 지하주차장 천장까지 물 차”
“차량 좌석 목받침 하단 철제봉으로 유리창 깨”

이미지 확대
많은 비가 내린 15일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제2지하차도에 차량이 침수됐다는 신고가 접수돼 소방 당국과 경찰이 수색작업을 하고 있다. 2023.7.15 연합뉴스
많은 비가 내린 15일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제2지하차도에 차량이 침수됐다는 신고가 접수돼 소방 당국과 경찰이 수색작업을 하고 있다.
2023.7.15 연합뉴스
폭우 때마다 갑자기 불어난 물이 지하차도와 지하주차장 등에 들이닥쳐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일이 되풀이되고 있다.

장맛비가 이어진 15일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 제2지하차도가 침수되면서 버스 등 차량 10여대가 고립돼 16일 오후 2시 기준 9명이 숨졌다. 현장 인근 미호강 주변 둑이 일시에 무너지면서 물이 범람했고, 지하차도로 순식간에 밀고 들어오면서 인명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폭우 시 지하차도 침수 사고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20년 7월 23일 밤 부산시 동구 초량 제1지하차도에서 차량 7대가 불어난 물에 잠겼다. 당시 시간당 최대 80㎜ 비가 쏟아졌고, 도로를 타고 내려온 물은 진입로 높이 3.5m, 길이 175m, 왕복 2차로인 이 지하차도를 한때 가득 채웠다.

지하차도 내 차량에 있던 9명은 빠져나왔으나 순식간에 불어난 물에 미처 대피하지 못한 시민 3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9월 태풍 ‘힌남노’ 때 주민 7명이 숨진 포하 인덕동 아파트 침수 사고 현장. 2022.9.6 연합뉴스
지난해 9월 태풍 ‘힌남노’ 때 주민 7명이 숨진 포하 인덕동 아파트 침수 사고 현장.
2022.9.6 연합뉴스
지난해 9월 태풍 ‘힌남노’ 때 주민 7명이 숨진 포항 인덕동 아파트 침수 사고 역시 지하에 물이 들어차면서 발생했다. 피해 주민들은 지하주차장 내 차량을 이동 조치하라는 관리사무실 안내방송 후 차를 옮기러 나갔다가 물이 거세게 들어차면서 변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6년 10월 태풍 ‘차바’ 때는 울산에서 시간당 100㎜ 넘게 퍼부은 빗물과 태화강에서 넘친 강물이 인근 주상복합아파트 지하주차장에 모이면서 차를 빼러 갔던 주민 1명이 목숨을 잃었다.

지하 침수로 인명피해가 되풀이되자 정부는 지난해 8월 국민행동요령을 보완해 국민재난안전포털 웹사이트(safekorea.go.kr)에 게시했다. 기존 국민행동요령에는 없었던 지하공간에 대한 국민행동요령을 따로 마련한 것으로, 지하공간 침수대비 행동요령을 구체적으로 신설했다.

침수 시작된 지하주차장…차량 두고 대피
이미지 확대
침수대비 국민행동요령. 국민재난안전포털
침수대비 국민행동요령.
국민재난안전포털
지하주차장에 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르면 차량을 두고 즉시 대피해야 한다. 경사로를 따라 물이 들어오기 시작하면 수압 때문에 차량이 지상으로 올라가기가 매우 어려우며, 5~10분 정도면 지하주차장 천장 부근까지 수위가 올라간다.

지하 계단은 정강이 높이 정도로만 물이 유입돼도 성인이 올라가기 어렵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물이 흘러들어오면 즉시 대피해야 한다. 계단에 흘러들어오는 물이 발목 높이라도 어린이나 노약자는 올라갈 수 없으니 조금이라도 유입이 되면 즉시 대피한다.

도로가 침수됐을 때는 도로 맨홀이 이탈하거나 솟아오르는 현상이 생길 수 있으니 맨홀을 피해 운행해야 한다. 침수 정도를 확인하기 힘든 밤에는 운전을 자제하고, 물이 흐르는 속도가 빠른 곳은 피해야 한다.

외부 수압으로 문 안 열리면 좌석 목받침 활용
이미지 확대
침수대비 국민행동요령. 국민재난안전포털
침수대비 국민행동요령.
국민재난안전포털
침수가 시작된 지하차도는 절대 진입하지 않아야 한다. 이미 진입했을 때는 차량을 두고 신속히 밖으로 대피한다. 급류가 있는 교량에서 차량은 수압에 의해 하천으로 밀릴 수 있으니 진입하지 않고 우회하거나 안전한 곳에서 대기해야 한다. 만약 급류에 차량이 고립되면 급류가 밀려오는 반대쪽 문을 열고 탈출하고, 문이 열리지 않으면 창문을 깨고 탈출한다.

차량이 침수되기 시작하면 승용차 기준 타이어가 3분의 2 이상 잠기기 전에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차량이 침수된 상황에서 외부 수압으로 문이 열리지 않을 때는 좌석 목받침 하단 철제봉을 이용해 유리창을 깨서 대피한다. 유리창을 깨지 못한 경우 차량 내·외부 수위 차이가 30㎝ 이하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차량 문이 열리는 순간 탈출한다.
윤예림 인턴기자·신진호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