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교통통제 하지 않았다..오송 지하차도 참사 인재 논란

아무도 교통통제 하지 않았다..오송 지하차도 참사 인재 논란

남인우 기자
남인우 기자
입력 2023-07-16 13:15
업데이트 2023-07-16 18: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강홍수통제소 주민통제 필요성 알렸지만 지자체 조치하지 않아, 행복청이 쌓은 제방 부실 의혹도

이미지 확대
지난 15일 오전 청주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가 침수되고 있는 모습. 충북도 제공
지난 15일 오전 청주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가 침수되고 있는 모습. 충북도 제공


집중호우가 충북지역을 강타한 지난 15일 오전 발생한 청주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에 대해 인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물난리에도 교통통제가 이뤄지지 않은데다 제방이 무너져 사고를 키웠기 때문이다.

16일 국가하천인 미호강의 홍수를 관리하는 금강홍수통제소에 따르면 전날 오전 4시10분 미호강 홍수주의보가 홍수경보로 변경됐다. 이후에도 미호강 수위가 9.2m까지 높아지는 등 상황이 심각해지자 금강홍수통제소는 오전 6시30분쯤 유선전화로 청주 흥덕구청에 주민대피 및 주민통제의 필요성을 알렸다.

금강홍수통제소 관계자는 “주민통제라는 말에는 교통통제 의미도 포함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충북도와 청주시의 교통통제는 이뤄지지 않았다.

충북도 관계자는 “홍수경보가 발령됐다고 무조건 교통을 통제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도로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통제를 하는 데, 당시 미호강 범람 위험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고, 도로도 문제가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지하차도는 터널 중앙에 50cm이상 물이 차면 통제하는게 지침인데 사고 직전에도 터널 안에 물 자체가 없었다”며 “제방이 무너지면서 물이 순식간에 들어와 교통을 통제할 겨를이 없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16일 오전 수색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오송궁평2지하차도.
16일 오전 수색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오송궁평2지하차도.


경찰은 미호강이 넘칠것 같다는 수차례 신고전화를 받고 흥덕구청에 이를 전달한 뒤 탑연삼거리 등에서 교통을 통제했다. 하지만 사고가 난 지하차도는 통제하지 않았다.

사고지점에서 200여m 떨어진 미호강 철골 가교 사이의 임시 제방 붕괴로 지하차도가 침수된 것으로 확인되자 제방의 부실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장찬교(70) 오송읍 궁평1리 전 이장은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농장이 걱정돼 나가다가 공사를 해 가보니 포크레인 한대가 모래를 긁어 제방을 쌓고 있었다”며 “감리단장이라는 사람이 있길래 이거를 공사라고 하느냐고 30분간 따졌다”고 했다. 이어 “그러던 중 제방을 쌓고 방수포로 덮어놓은 곳에서 제방이 무너졌다”며 “이 물이 지하차도와 농지를 덮쳤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철골 가교와 임시 제방 공사 주체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다. 행복청 관계자는 “톤백을 밑에 쌓은 뒤 윗부분은 흙 다짐 방식으로 제방을 만든 뒤 이날 보강작업을 하던 중이었다”며 “부실 때문에 제방이 무너진 게 아니라 폭우로 강이 범람해 무너진 것”이라고 해명했다.

지하차도 안에 배수펌프가 4개 있지만 많은 양의 물이 한꺼번에 지하차도를 덮치면서 전기가 끊겨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충북도는 이 지하차도에 교통사고나 침수 등 위급상황시 작동하는 자동차단 시스템을 오는 9월쯤 설치할 예정이었다.

이번 사고는 15일 오전 8시40분쯤 발생했다. 인근 미호강 제방이 무너지면서 순식간에 지하차도 상부까지 침수됐다.

지하차도 안에 차량 15대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16일 오후 1시 현재 8명이 숨진 채 발견되고 9명이 구조됐다. 사망자 가운데 5명은 침수된 시내버스 안에서 발견됐다. 사고 직후 접수된 실종신고가 11명에 달해 사상자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지하차도 배수·수색작업에는 군인·경찰·소방등 399명이 투입됐다.
청주 남인우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