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까지 #함께 #싸웁시다

#끝까지 #함께 #싸웁시다

입력 2019-08-14 22:34
수정 2019-08-15 01: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1400번째 수요시위 2만여명 몰려

12개국 37개 도시서도 연대 집회
文 “피해자들 존엄 회복 위해 최선”
이미지 확대
제7차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이자 74주년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400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 참석한 시민들이 ‘우리가 증인이다’, ‘끝까지 함께 싸웁시다’라고 적힌 팻말 등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날 수요시위는 국내 13개 도시를 비롯해 일본, 미국, 대만, 호주 등 전 세계 12개국 37개 도시 53개 지역에서 함께 진행됐다.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제7차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이자 74주년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400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 참석한 시민들이 ‘우리가 증인이다’, ‘끝까지 함께 싸웁시다’라고 적힌 팻말 등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날 수요시위는 국내 13개 도시를 비롯해 일본, 미국, 대만, 호주 등 전 세계 12개국 37개 도시 53개 지역에서 함께 진행됐다.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일본 정부에 전쟁 범죄 인정과 위안부 동원 사죄 등을 촉구하며 27년간 이어져 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가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1400번째로 열렸다. ‘세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이기도 한 이날은 서울뿐 아니라 일본, 미국, 대만, 호주 등 세계 12개국 37개 도시에서 집회가 함께 진행돼 의미를 더했다.
이미지 확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인 14일 오후 서울 남산 서울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앞(일제 조선신궁 터)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비’ 동상 제막식에서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가 동상을 어루만지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인 14일 오후 서울 남산 서울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앞(일제 조선신궁 터)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비’ 동상 제막식에서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가 동상을 어루만지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수요시위가 열린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는 중고생과 시민 등 2만명(주최 측 추산)이 모여 위안부 문제에 대한 진상 규명과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 배상을 포함한 법적 책임 이행 등을 요구했다. 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91) 할머니도 자리를 지켰다.

참가자들은 성명서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시작한 미투(성폭력 피해 사실을 공개 고발하는 것)는 각지에서 모인 우리들의 위드유(피해자에 연대와 지지 뜻을 밝히는 것)를 통해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과 전시 성폭력 추방을 위한 연대를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북한 측 단체인 ‘조선일본군성노예 및 강제련행피해자문제대책위’도 연대 서한을 통해 “일본의 과거 죄악을 청산하고 그 대가를 받아내기 위한 반일 연대 운동을 더욱 힘차게 벌여 나가자”고 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에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존엄과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인류 보편적 관점에서 위안부 문제를 평화와 여성 인권에 대한 메시지로서 국제사회에 공유하고 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세계 시민사회와 연대해 다른 나라 피해자들에게도 희망을 주셨던 수많은 할머니들과 김복동 할머니를 기억하겠다”고 했다.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9-08-15 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