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복·이재정 “결정난 사항을 北에 왜 물어보나” 반박

김만복·이재정 “결정난 사항을 北에 왜 물어보나” 반박

입력 2016-10-17 16:05
업데이트 2016-10-17 16: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무현 정부가 2007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과 관련해 북한에 사전의견을 구한 뒤 기권했다는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의 회고록에 대해 당시 회의에 참석했던 이재정(경기도교육감) 전 통일부 장관과 김만복 전 국정원장이 17일 “말도 안 된다”면서 부인했다.

이 전 장관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2007년 11월) 15일 외교안보조정회의에서 송민순 당시 외교통상부 장관이 대북인권결의안에 찬성하자는 의견을 내면서 논의가 시작됐다”며 “이날 이미 ‘기권’이 다수의견으로 결론이 내려져 대통령에게 보고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송 전 장관 혼자 찬성의견을 냈고 저는 ‘정상회담하고 나서 대북결의안에 대해 찬성하면 말이 안 된다. 반대해야 한다’고 강경 발언을 했다. 당시 국정원장은 ‘지금 상황에서 기권으로 가는 게 좋다’고 발언했고 결국 저도 ‘기권’을 수용했다”고 떠올렸다.

이 회의에 참석한 문재인 당시 비서실장과 관련해서는 “문 실장은 (외교안보조정회의) 고정멤버가 아니었다. 대통령에게 정확한 의견을 전달하기 위해 가끔 참석했다”며 “회의에서도 ‘인권의 보편성은 어느 나라에서도 존중해야 하고 (북한이) 예외일 수 없다’며 찬성의견을 냈다가 ‘기권’이 대세가 되자 이를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이 전 장관은 “이날 회의 결과는 대통령께 보고가 돼 사실상 이날 결론이 난 것”이라며 “(격론을 펼쳤기 때문에 결론이 뒤바뀔까 봐) 불안해서 16일 대통령 독대신청을 하고 관저에 찾아갔더니 송 전 장관도 와 있었다. 그 자리에서 송 전 장관과 논쟁을 했고 대통령이 ‘이번 일은 통일부 장관 의견이 따르는 것이 좋다. 결론 냅시다’고 최종적으로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전 장관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송 전 장관에 대해 “의도적으로 거짓말을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면서 “부정확하다고 생각한다. 회고록이라는 것은 원래 자기중심적으로 쓰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전 원장도 CBS 라디오와의 사전 전화통화에서 자신이 북한에 사전의견을 구하자고 했다는 송 전 장관의 회고록을 거듭 부인했다.

이날 김 전 원장은 CBS 라디오에 직접 출연한 것이 아니라 CBS라디오가 이미 통화한 내용 가운데 필요한 부분만 공개하는 방식이었다.

김 전 원장은 “아니 있을 수가 있나요. 제가 (북한에) 물어보고…”라면서 “(회고록에) 외교기밀 누설이 있다. 송 전 장관을 국가기밀누설죄로 고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CBS 라디오는 김 전 원장이 통화에서 회고록에 대해 문 전 대표 흠집 내기이며, 대선을 앞두고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대통령 (당선) 가능성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얘기를 했으며, 여당에서 국정감사 증인으로 자신을 채택할 경우 떳떳하게 응하겠다는 말을 했다고 덧붙였다.

회고록에서 2007년 11월 20일 북한의 입장을 송 전 장관에게 전달한 인물로 지목된 백종천 당시 청와대 안보실장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기권 결정 전 북한에 물어봤다는 송 전 장관의 회고록 내용은 ‘말이 안 된다’는 입장을 일부 언론을 통해 밝힌 바 있다.

백 전 실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일부 언론에 밝힌 것 외에) 더 이상 언급할 내용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송 전 장관은 전날 “책에 있는 내용 그대로”라면서 회고록에서 밝힌 자신의 입장을 유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